경제 일반경제

"직장만족도 높이면 결혼·출산 의향 20% 늘었다"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12 18:22

수정 2024.03.12 18:22

한반도미래인구硏 세미나
"저출산 대책은 육아휴직 등
근로환경 개선부터 시작해야
기업 참여 위한 인센티브 필요
인구대응 K-ESG 개발해야"
"직장만족도 높이면 결혼·출산 의향 20% 늘었다"
직장만족도를 높이면 청년들의 결혼과 출산 의향이 20% 늘어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육아휴직 활성화, 근무시간 자율제 등 기업의 가족친화 지원은 2030세대 결혼과 출산 결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이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전체 저출산 대응 예산 가운데 불과 3.2%에 그치는 기업 관련 예산을 늘려야 한다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저출산, 기업에 치명타

민간 인구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1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인구위기 대응 K-ESG 기업이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주제로 제1차 인구 2.1 세미나를 열었다.

한미연은 기업이 인구위기에 대응해야 하는 이유로 '노동력'을 꼽았다.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총인구 1000만명이 사라진다.

임동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은 인구위기 피해를 최전방으로 감당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며 "전체 인구 중 핵심노동인구(25~54세) 비중이 OECD 1위에서 2047년부터 최하위로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동력이 늙어가면 기업도 늙어간다"며 "나이 든 인력 고용은 결국 기업의 몫"이라고 말했다.

실제 2022년 46.8세였던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 연령은 2035년 50.2세를 넘고, 2050년이 되면 53.7세가 된다. 이 기간 OECD 국가의 취업자 평균 연령은 2022년 42.6세, 2035년 43.2세, 2050년 43.8세 등에 그친다.

한미연은 "직장만족도를 높이면 결혼·출산 의향이 20% 증가한다"며 "근로환경 개선은 저출산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한미연이 작년 2030세대 1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만족도에 대해 '불만족'인 응답자들은 2명 중 1명(46.3%)만 결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직장만족도가 높은 응답자들의 68.4%가 결혼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기업의 가족친화 지원이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육아휴직 의무화·유연한 근로환경에 대한 근로자 수요가 높았다. 한미연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기업 지원 1위로 자유로운 육아휴직 사용 보장(25.1%)를 꼽았다. 다음으로 근무시간 유연화(23.6%), 근무장소 유연화(17.8%), 사내 양육돌봄 서비스 시설 확대(17.4%), 임신 출산을 위한 휴가 적극 지원(15.5%) 등으로 조사됐다.

직장갑질 119가 올해 조사한 저출산 해결에 반드시 필요한 직장 지원으로 남녀 공동 1위로 육아휴직 의무화(20.1%)를 꼽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가족친화 지원책 이용률은 OECD 최하위에 수준이다.

■정부, 기업 지원 늘려야

한미연은 저출산 대응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한미연 분석에 따르면 작년 저출산 대응 예산 가운데 주택 예산은 44.3%에 달하는데 비해 기업 관련 예산은 3.2%에 그쳤다. 보육돌봄 25.3%, 자녀수당 14.6% 등과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또 가족친화인증제도,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등 정부의 기업인증제가 도입 20년을 맞았지만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미연은 "기업과 근로자에 대한 실질적 인센티브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봤다. 이를 위해 인구위기 대응 K-ESG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고 한미연은 제언했다.
글로벌 스탠더드를 따르는 ESG 특성상 평가 지표에 출산·양육 관련 지표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인구 재앙' 수준인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인구 관련 지표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정운찬 한미연 이사장은 "기존의 ESG 지표가 세계 최악의 출산율을 기록하는 한국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K-ESG' 지표는 인구문제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보여주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위한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