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이종섭-황상무 압박수위 높이는 與..용산은 '확전자제' [2024 총선]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18 17:07

수정 2024.03.18 17:10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이종섭 주 호주대사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소환 조사 여부와 '언론인 회칼 테러' 발언 논란을 불러일으킨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의 거취 이슈를 놓고 대통령실과 여당이 애써 정면 충돌은 피하는 모양새다.

특히 국민의힘 지도부는 한동훈 총괄선대위원장의 이 대사 즉각 귀국과 황 수석의 거취 결정 압박에 이어 일부 선대위원장단까지 가세, 비판적 국민여론을 앞세워 거취 결정을 거듭 촉구하고 있다. 이 같은 여권 수뇌부의 강경기조에는 두 이슈로 인해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 등의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는 관측이다. 이에 대통령실도 총선 민심을 고려한 여당의 강경한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자칫 제2의 당정 갈등으로 비화되는데 대한 부담감을 안고 최대한 자제모드를 유지하는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18일 공수처 수사를 받는 이 대사의 귀국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데 이어, 황 수석에 대해서도 원칙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자진사퇴와는 일정 거리를 뒀다.

전날 한 위원장이 이 대사의 국내 복귀와 황 수석의 거취 결정을 요청한 것에 대해 대통령실은 확전을 경계하는 모습이고, 국민의힘도 일단 총선민심을 고려해 제한된 요구는 하되 대통령실에 대한 공격적인 반응은 자제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공지를 통해 이 대사가 한·미·일·호주와의 안보협력과 호주에 대한 대규모 방산수출 차원에서 적임자라는 점을 강조, '정당한 인사'임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공수처의 수사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대사가 복귀할 필요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이 공수처의 준비되지 않은 조사 상황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 대사의 당장 복귀가 부적절함을 강조한 것이나, "공수처의 소환 요청에 언제든 즉각 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공을 공수처에 넘긴 것으로 보인다.

과거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을 언급했던 황 수석 이슈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우리 정부는 과거 정권들과 같이 정보기관을 동원해 언론인을 사찰하거나 국세청을 동원해 언론사 세무사찰을 벌인 적도 없고, 그럴 의사나 시스템도 없다"고 밝히며 황 수석 거취 언급에 대해 거리를 뒀다.

대통령실 내부에선 황 수석이 공개석상이 아닌 일부 언론인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한 발언이 보도됐다는 점에서 발언 경위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의 이같은 입장에 대해 국민의힘도 당장 갈등으로 비쳐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한 위원장은 취임 후 꾸준히 실시하던 출근길 도어스테핑을 이날부터 취소했다. 전날 한 위원장이 직접 대통령실을 압박한 만큼, 한 위원장은 추가 입장을 내지않으며 대통령실과의 확전으로 비쳐지는 걸 경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장동혁 사무총장은 "당정갈등이라고 비춰지는 것보다는 국민들의 민심을 말씀드린 것"이라며 갈등의 불씨를 사전차단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도 당정갈등 우려에 대해 "과한 해석"이라며 "당정간 갈등 상황이나 부딪힐 조짐은 못느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내 일각에선 대통령실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 위원장이 직접 전면에 나선 만큼, 대통령실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나경원 공동선대위원장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사 임명과 출국에) 대통령실의 잘못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당연히 국민들이 느끼기에는 도피성 대사 임명, 이렇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안철수 공동선대위원장도 취재진과 만나 "빨리 귀국해서 수사받는 게 좋다. 해임 문제를 포함해 검토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친윤계인 이용 의원도 이 대사의 즉각 귀국에 동의하며 "이 대사도 충분히 수사를 받거나 아니면 빨리 귀국해서 본인의 입장을 표명하지 않을까"라고 전했다.

한편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이른바 '약속대련'이라는 시각이 제기됐다.

최근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에서 이 대사 출국 문제와 황 수석 발언이 당 지지율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만큼, 총선을 앞두고 문제를 타개하고자 약속대련을 실시했다는 주장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또 다른 약속대련이 시작됐다"며 "결국 한 위원장의 손을 들어주는 식으로 갈 것이다.
다만 국민들의 피로도가 높아져 효과는 지난번과 반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정경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