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불안한 노후… 60대 이상 단기알바 11만명 급증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18 18:21

수정 2024.03.18 18:21

2월 임시근로자 취업 461만명
전년동월대비 20만7000명 늘어
그 중 절반이 60세 이상 노년층
65세 이상 빈곤율도 38%로 늘어
1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3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뉴스1
1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3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뉴스1
고용호조세를 타고 늘어난 일자리 가운데 노년층의 임시·단기직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근로자 증가세가 큰 폭으로 늘어났고, 이 가운데 과반이 60세 이상의 몫이었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월 임시근로자 취업자 규모는 전년동월 대비 20만7000명 늘어난 461만7000명이다. 2022년 2월 34만2000명 늘어난 이후 2년 내 최대폭으로 늘어난 달이다.
특히 전년 2월 임시직 일자리가 오히려 12만8000명 줄어든 점을 감안하면 1년 새 빠르게 증가세로 전환한 셈이다.

임시직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것은 주로 30세 미만의 청년층과 60세 이상의 고령층이다. 30대와 40대는 오히려 각각 1만명, 1만3000명 줄어들며 상용근로자 비중을 키웠다. 불안정한 일자리를 사회 초년생과 은퇴 이후 고령자가 양분해 가는 모양새다.

전 연령대 가운데 임시직 증가폭이 가장 큰 연령층은 60세 이상 노년층으로 나타났다. 전년동월 대비 11만3000명 늘어나며 증가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0대와 40대의 감소세를 감안하면 사실상 대부분의 임시직을 노년층에서 가져가고 있는 셈이다.

지난 2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425만9000명으로 이 가운데 안정적 직장을 가진 상용근로자는 157만7000명(37%)이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106만6000명(25%)을 제외한 84만7000명(19.9%)이 임시근로자다. 10명 중 2명가량이 불안정한 일자리를 옮겨다니고 있다.

나이대를 세분화해보면 노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 크게 드러난다. 70세 이상(181만명)에서는 임시근로자가 76만명으로 42.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70세 이상 초고령 취업자 10명 중 4명은 임시직이라는 의미다.

70세 이상 임시직 규모는 2월 기준 2020년 48만7000명에서 2021년 51만1000명, 2022년 58만명, 지난해 67만7000명, 올해 76만명으로 우상향 중이다.

물론 이 같은 증가세를 이끄는 것은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의 영향이 크다. 정부의 올해 직접일자리 사업 채용목표는 상반기에만 114만명에 이른다다. 1월 말에만 기준 당초 목표치의 104%인 74만7000명을 채용했다.

다만 은퇴 이후 고령자가 계속해서 경제활동인구로 남아있는 것은 불안한 노후 탓이 크다. 공공일자리 사업 가운데 공익활동형 일자리 비중은 69%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부 기준 소득이 월 34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다.

노인빈곤율 역시 임시일자리 비중과 비례해 높아지는 모습이다. 66세 이상 노인인구 중 노인 소득 빈곤율은 66∼75세 31.4%에서 76세 이상은 52.0%로 뛰어오른다.
소득 불안정성이 커질수록 임시직에 뛰어드는 비율도 따라서 올라가는 중이다.

통계청 가구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22년 처분가능소득 기준(가처분소득)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은 38.1%를 기록했다.
직전 연도인 2021년 37.6%보다 0.5%p 늘며 노후안정은 오히려 뒷걸음치는 중이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