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경·공매가 더 떨어질라… 2금융권, 캠코·LH에 'SOS'

이승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21 18:38

수정 2024.03.21 18:38

금감원의 경·공매 활성화 주문에
민간 운용사 가격 후려치기 경계
"공공에 부실채권 흡수 강화 요청"
직접매입·펀드운용 등 방안 제시
"선매물 우선" 당국, 회의적 반응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 경·공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역할을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가격에 대한 매각자와 매입자의 '시각차'가 거래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는 만큼 공사(公社)가 이를 메울 중간 기능을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캠코·LH가 가격 절충 역할 필요"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사업장을 경·공매로 더 많이 넘기게 되는 대신 캠코나 LH 등 공공기관의 흡수 여력을 높여 달라는 취지의 의견을 조만간 금감원에 전달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경·공매 매물이 한 번에 쏟아져 나오면 시장에서는 싸게 사려는 경향이 있으니 캠코나 LH 등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민간에서 받을 수 없다면 이들이 해소해 줬으면 좋겠다는 게 업계 바람"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방법은 펀드를 운용할 수도 있고 직접 매입할 수도 있고 다양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더 적극적인 부실 PF 사업장 매각을 압박하고 있는 데 대한 한 가지 절충안이다.
앞서 금감원은 부실 정리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다고 판단해 저축은행 업계에 경·공매를 활발히 할 방법을 고민해달라고 주문했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매수 희망자가 제시하는 가격이 이미 너무 낮은 데다가 금융당국의 경·공매 확대 기조로 가격이 더 하락할까 난색을 보이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일단 경·공매 매물을 많이 내놓으면 공급이 많아 가격이 떨어질 테니 그걸 통해서 시장 가격과 격차를 줄일 수 있다"며 "시장은 시장대로 역할을 하고 격차가 많이 발생하는 데 대한 중간 역할은 캠코나 LH가 받아서 흡수할 수 있었으면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 "매물 먼저 나와야" 입장

결국 민간 회사의 '과도한 후려치기'를 경계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재원을 늘려 안전장치를 마련해 달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민간에서 매입할 의지가 없는 부실채권을 사들이기 위해 공적 역할이 확대된 경험은 이전에도 있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캠코는 6조2000억원을 투입, 10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직접 매입했다.

현재로서는 캠코에서 1조원 규모 PF 정상화 펀드를 운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민간 운용사가 가격 조정 및 의사 결정에 주로 기여하는 형태라 지난해 10월 조성된 이후 실적은 단 1건에 그친다. 하지만 금융당국에서는 부실화된 채권도 매물로 내놓지 않으려고 하는 금융회사 태도가 문제가 있다는 판단 아래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적정 가격 설정 등 경·공매 절차를 둘러싼 '관행적 문제'를 개선하고자 함인데 '동문서답'이라는 반응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부실채권을 해소하기 위해선 절차를 바꾸는 측면이 있고 공급을 늘리는 측면이 있다. 가격이 안 맞는다고 하지만 시장에 물건이 나오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계 의견 수렴을 시작으로 상호금융이나 새마을금고 등과도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