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지방균형발전' 한다더니”...수도권 GDP 기여율 ‘70.1%’ 수직 상승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26 05:59

수정 2024.03.26 05:59

2015년 이후 수도권 집중화 현상 ‘뚜렷’
주요 성장 수도권 집중...GDP 70% 기여
고령화 가속화로 ‘도 지역’ 소비 부진 심화
“비수도권 인구유출 대응·정책 노력 필요”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지난 2022년 수도권의 국내 경제성장률(GDP) 기여도가 70%를 넘어서는 등 수도권 경제력 집중화현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재분배로 지역간 소득 격차는 줄었으나 인구 고령화에 도(道) 지역의 소비 증가율이 대도시에 비해 더 크게 둔화하며 소비 격차는 더욱 늘어나면서 비수도권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은행의 ‘지역경제보고서 이슈분석’에 따르면 수도권의 전국 경제 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은 지난 2015년 51.6%p로 처음으로 50%를 상회한 뒤 지난 2022년 70.1%p까지 상승했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2015~2022년) 성장률이 이전 기간(2001~2014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은 성장률이 3%p 이상 크게 하락했다.

이예림 한은 조사국 지역연구지원팀 과장은 "성장률 격차는 주력 제조업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비수도권은 자동차, 화학제품 및 기계 산업 등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 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격차는 같은 기간 축소됐다.
특히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와 도 지역 간 소득 격차가 줄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았던 도 지역의 소득 증가율이 2015년 이후 대도시보다 덜 둔화한 데 기인한다.

소득 격차 축소에도 도 지역의 소비 증가율은 대도시보다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지역의 경우 생산 둔화 영향이 개인소득보다는 기업의 이익 둔화로 나타났고 코로나 19 이후 정부의 대규모 이전지출에 따른 재분배 수혜도 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기 때문이다.

이 과장은 “도 지역의 평균소비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해 지역 간 소비수준의 격차는 확대됐다”며 “이는 청년 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 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역 간 소비수준 격차도 확대됐다. 청년 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 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도 지역의 평균 소비 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과장은 "저출산 등 우리나라의 구조적 문제들이 수도권 집중화와 관련된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며 "비수도권 인구유출 등에 따른 공급 및 수요 둔화에 대응하되 향후 재정부담 등을 감안해 지역 특성에 따른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