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춘천 갑 선거구 격전 예고...뜬구름 공약 비판 목소리도[2024 총선]

김기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29 17:06

수정 2024.03.29 17:06

GTX-B 노선·캠프페이지 활용방안 등 구체적 비전 제시 여론
제22대 총선 춘천·철원·화천·양구 갑 선거구 후보. 사진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허영, 국민의힘 김혜란, 새로운미래 조일현, 무소속 오정규 후보. 연합뉴스
제22대 총선 춘천·철원·화천·양구 갑 선거구 후보. 사진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허영, 국민의힘 김혜란, 새로운미래 조일현, 무소속 오정규 후보.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춘천=김기섭 기자】 춘천·철원·화천·양구 갑 선거구(이하 춘천 갑)가 여론 조사 결과 민주당 허영 후보와 국민의힘 김혜란 후보의 맞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두 후보 모두 주요 공약을 내세우며 표심 잡는데 화력을 쏟아붓고 있다.

29일 강원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춘천 갑 선거구는 지난 22일 후보 등록 결과 허 후보와 김 후보, 새로운미래 조일현 후보, 무소속 오정규 후보 등 4명의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이후 강원일보·강원도민일보·G1방송·KBS춘천·MBC강원3사 등 강원 언론사들이 지난 22~24일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구 후보 지지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6%가 허 후보, 41%가 김 후보를 선택,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등 사실상 양자 대결 구도를 보였다.

이어 두 후보가 공식 TV토론 등을 통해 정책 공약 대결에 나서면서 유권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허 후보는 대표 공약으로 4년전 대표공약으로 내세웠던 춘천호수국가정원 조성사업 완성을 내걸었다. 이를 위해 2024~2027년 춘천지방정원 조성 및 생태축 복원사업, 2025년 정원산업박람회 개최, 2030년 국제정원 박람회 개최 등을 구체적인 이행 방안으로 약속했다.


이와함께 합리적 수준의 공공 주도 2만~3만명 규모 은퇴자 도시 조성,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축구전용경기장 건립 추진, 기업혁신파크와 수열에너지클러스터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반면 김 후보의 대표공약은 국립현대미술관 분원 춘천 유치다. 이를 통해 춘천을 강원도를 대표하는 문화, 예술, 관광 명소로 발전시키고 이와 연결해 명동거리 등 원도심 상권을 활성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또한 육림고개, 중앙로 등 원도심을 미식과 라이프, 문화 복합 공간으로 확장하는 등 명동 그랜드 플랜을 통한 도시 재창조를 약속했다. 이는 도청사 이전에 따른 구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한 대안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수십년 째 인구 20만 도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춘천의 현실을 바꾸기에는 두 후보의 주요 공약들이 내용이 빈약하거나 핵심을 비껴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정식(43·춘천 퇴계동)씨는 "춘천호수국가정원 사업은 공약한 지 4년이 지났지만 춘천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체감할 수 없는 공약이고 국립현대미술관 춘천 분원 유치도 타 도시와 경쟁을 해야 하는데다 수십년째 정체돼 있는 도시에 변화를 줄 수 있다고 믿기 힘들다"며 "정말 유권자들이 춘천 발전을 위해 무엇을 원하는 지 더 고민을 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박미자(55·약사명동)씨는 "허영 후보의 은퇴자 도시 조성은 어디에 어떻게 할지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김혜란 후보의 명동 그랜드 플랜을 통한 도시 재창조 공약도 구체성이 약하다"며 "두 후보는 GTX-B 노선 활용이나 캠프페이지 개발 방향, 공공기관 유치, 구도심 공동화 현상, 기업 유치 등 주요 발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새로운미래 조일현 후보의 대표 공약은 세계적 관광휴양도시 조성이며 무소속 오정규 후보는 춘천과학기술원 유치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한편 지난 22~24일 진행된 강원도내 5개 언론사 여론조사는 갑 선거구 만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3개 통신사(SKT·KT·LGU+)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를 이용, 면접원에 의한 100% 무선전화면접조사로 조사했다. 표본오차는 95%신뢰 수준에 ±4.4%다.
응답률은 20.8%다. 올해 2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른 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kees26@fnnews.com 김기섭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