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금사과 막는다...."강원도 사과 산지 면적 두배로"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02 11:20

수정 2024.04.02 11:20

농식품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용도까지 지정하는 방식 도입 가격등락 대응
냉해 이상저온 예방 시설 재배면적 30% 확충
강원도에 스마트 과수원 특화 단지 조성
박실장 "수입산 가격 경쟁까지 고려한 대책"
/사진=뉴스1화상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사과와 배 계약재배 물량을 늘리고 강원도에 사과 재배지를 늘리기로 했다. 냉해 등 재해 예방 시설을 30%까지 늘리고 신기술을 도입한 '스마트과수원'도 여의도 4배 면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사과의 주요 생산지 전환부터 이후 유통단계까지 효율화를 거쳐 생산량 감소로 물량 부족에 어려움을 일을 예방하겠다는 취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물가관계 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사과의 경우 연평균 1%씩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재배 면적을 오는 2030년 3만3000㏊(여의도의 114배) 이상으로, 지난해(3만3789㏊)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또 사과 생산은 50만t(톤) 이상으로, 평년(49만t) 수준으로 확보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과와 배 계약재배 물량을 지난해 각각 5만t, 4만t 수준에서 2030년 15만t, 6만t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는 2030년 예상 생산량의 30% 수준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사과 계약재배 물량을 통해 2030년에는 명절 수요의 50%(12만t 중 6만t), 평시 수요의 25%(37만t 중 9만t)를 각각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계약재배 물량의 출하 시기만을 지정했던 기존 방식에서 보관시설과 출하처, 용도까지 손보는 ‘지정 출하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특정 유통 경로의 급격한 가격 등락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과잉 생산 때는 남은 물량을 가공용으로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박수진 식량정책실장은 "정부가 비축하는 방안도 있겠지만 비축 인프라를 조성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지정 출하를 통해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며 "지정 출하 방식은 사실상 정부가 직접 컨트롤하는 것과 거의 같은 효과를 낼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재해·수급 대응 역량 제고, 생산기반 확보 및 생산성 제고, 유통 구조 효율화, 소비자 선택권 다양화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한다.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 보급률은 사과·배 기준 현재 재배 면적의 1~16% 수준에 불과한 상태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재배면적의 30%까지 예방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포도·감귤에 보편화된 비가림 시설도 사과·배에 적용 및 보급한다. 농식품부는 “재해예방시설 30% 확충 시 재해 피해는 약 31% 절감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 적지 북상에 따라 강원도를 새로운 사과 산지로 육성한다. 지난 2005년만 해도 강원 지역의 사과 재배 면적은 전체 사과 재배 면적의 0.5%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비중이 5.0%로 늘었다. 이에 정선, 양구, 홍천, 영월, 평창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 재배면적을 지난해 931㏊에서 2030년 2000㏊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강원도 등 미래 적지에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와 배치를 단순화해 노동력을 기존 과수원 대비 30% 절감하고 햇빛 이용률을 높여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 과수원이다. 기존 대비 약 2배 가량의 생산성을 보인다고 평가받고 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 과수원을 20헥타르(㏊) 규모로 단지화해 2025년 신규 5개소를 시작으로 특화 단지를 오는 2030년까지 60개소로 늘리기로 했다.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수준으로, 이를 통해 사과 생산량의 8%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추후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검역 협상 진행 등으로 수입 과일과 경쟁하는 상황까지 고려해 이번 대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언젠가 검역 협상이 마무리되면 수입 사과, 배가 들어올 수밖에 없고 우리 사과는 미국, 뉴질랜드산 등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높지 않아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뒀다"며 "예를 들어 스마트 과수원으로 생산 단계 비용을 낮추고 유통비용도 절감하면 (가격) 경쟁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이보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