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에너지산업 디지털 전환'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FN 재계노트]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06 06:00

수정 2024.04.06 06:00

박경원 대한상공회의소 SGI 연구위원
박경원 대한상공회의소 SGI 연구위원



FN 재계노트는 재계에서 주목하는 경제 이슈와 전망을 전문가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쓴 글입니다. <편집자주>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도는 세계 주요국 중 단연 최고 수준이다. 1980년대 30%대였던 수도권 인구비중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수도권 비중이 비수도권을 넘어서기 시작해 2023년에는 51%에 이르렀다. 우리나라의 수도권 인구비중은 역시 수도권 과밀 문제로 고민하는 일본(34%), 영국(25), 프랑스(25)와 비교해도 크게 높은 수준이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이동은 비수도권 지역의 직접적인 경제 침체 원인이 된다.
수도권에서는 인구밀도 증가와 생활여건 악화로 이어져 출생률을 낮추고, 국가 총인구 감소라는 결과를 낳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1980년대 최고치를 달성한 뒤 2010년대 2%대로 감소했고 이 과정에서 노동투입의 기여도는 지속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한국의 잠재성장률도 현 수준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주된 요인 중 하나가 인구감소로 인한 노동투입의 감소라고 나타났다.

한편 저성장, 인구감소 시대로 접어든 한국 경제에 디지털 전환은 데이터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생산성을 높이는 경제성장 동력의 원천이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등을 포괄하는데, 디지털 기술이 산업과 일상생활의 모든 영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돼 전통적인 사회·경제시스템을 바꾸는 디지털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공정 최적화와 품질관리를 통해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고, 기후 불확실성 대응과 최적 자원배분으로 농업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에너지 산업에도 적용돼 에너지의 생산, 유통, 소비 방식을 변화시켜 에너지 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을 촉진한다. 디지털 기술기반의 VPP, ESS와 같은 유연성 자원과 다양한 섹터커플링 기술은 재생에너지의 효율적 활용, 전력계통 안정성 확대, 스마트 그리드 기반 에너지 수급 최적화를 가능케해 에너지 전환의 잠재력을 극대화한다.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국가에너지 시스템의 분산화, 탈집중화를 가속화한다. 올해 6월 시행 예정인 분산에너지법도 에너지 분야 첨단기술을 활용해 분산에너지를 활성화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통해 경제의 지속성장에 기여할 목적으로 제정됐다. 이는 지역별 전력수급 불균형과 전력계통 포화로 인해 한계에 봉착한 국내 전력시스템의 대안으로서 분산에너지시스템 강화를 도모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 기술의 역할을 강조한다.

분산에너지시스템이 구축되면 수요지 인근에서 분산형 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대형발전소와 송전망 건설을 최소화하고 지역 단위의 독립적인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할 수 있다. 이는 교육, 문화, 의료, 교통인프라 전반이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에서 에너지 수급 측면에서만큼은 비수도권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요소다. 안정적인 전력공급 기반은 전력수요가 큰 첨단산업의 입지 결정 요인이 되고, 거래 유연성과 전력 소비자 선택권 확대는 에너지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스타트업의 발굴의 출발점이 된다.

에너지산업의 디지털 전환은 금융·보험업 등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시너지를 창출해 지역경제 발전역량 증대에 기여한다.
지역 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에너지 효율성 향상, 지역 전통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 내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여 비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라는 국면 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경제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직면한 지방소멸, 인구감소, 잠재성장률 하락이라는 복합적인 문제 해결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정책설계와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경원 대한상공회의소 SGI 연구위원

※이 글은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이며,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