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美 금리인하 연내 물건너가나? 불확실해진 韓 금리인하 시점

서혜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10 14:53

수정 2024.04.10 14:53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미국의 강한 경제 지표로 인해 미국이 연내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한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7~8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 수는 한 달 새 30만 3000명 증가하면서 시장 예상치인 20만 명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전날 미 채권시장은 약세(금리 상승)를 보였다. 미 경제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호조라는 의미이기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굳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종전보다 사그라 들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전날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연말까지 금리 인하를 단 2차례에 그칠 확률을 32.8%로 반영했다. 3차례일 확률은 31.4%, 4차례일 확률은 14.1%로 평가했다.

하루 전만 해도 3차례 인하 확률을 가장 높게 봤던 시장(3차례 33.2% 대 2차례 30.3%)이 하루 만에 가장 유력한 예상 시나리오를 바꾼 셈이다.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도 나왔다.

연준 내 매파(통화 긴축 선호) 인사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4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이 계속 횡보하면 금리 인하가 정말 필요한지 의문이 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한은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7~8월로 보면서도 만일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기조가 현실화할 경우 한은의 금리 인하 역시 뒤로 늦춰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하는 7월쯤 예상되나 더 늦출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의 경우는 비용 인상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경제 지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아진 탓에 미국보다 먼저 강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태도를 보이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성장세가 한국과 달리 좋아 시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으로 6월이냐, 아예 하반기냐를 보는 상황"이라며 "아직은 6월 첫 인하 단행이 가능해 보이나 연내 총 인하 횟수가 줄어들 수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통화정책 피벗(전환)에 있어 국내 여건의 중요성을 강조한 한은 총재 발언을 고려하면 7~8월 기준금리 인하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다는 의견도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현재 글로벌 경제에는 금융 안정 리스크가 존재하고 이를 정부와 정책 당국이 덮어놓은 상황인 터라 이런 리스크를 줄여주는 목적의 금리 인하가 6월부터 서서히 단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작년, 재작년 같은 경우는 미국의 인상 속도가 굉장히 빨라 미 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었는데 역사적으로 봤을 때 미국이 피벗을 하면 각국은 국내의 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차별화된 정책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고 언급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