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터넷/SNS

'정부 추진' 영화 홀드백에 다수 "생소" "부정적"

구자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12 11:17

수정 2024.04.12 13:59

서울 시내 영화관에 걸린 영화 '파묘' 홍보물. 뉴시스
서울 시내 영화관에 걸린 영화 '파묘' 홍보물. 뉴시스

정부가 영화·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 상생을 취지로 도입을 추진 중인 홀드백 제도에 대해 국민 다수는 생소하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홀드백은 극장에서 상영된 영화가 IPTV, OTT 등에 유통되기까지 유예 기간을 두는 것을 뜻한다.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12일 발표한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홀드백 제도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답한 응답률은 37%다.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률(21%)보다 16%포인트(p) 더 높았다.

정부와 영화계의 홀드백 논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극장 수입 급감 등 영화 산업이 침체일로를 겪으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는 개봉 영화가 통상 1~3개월, 짧게는 2~3주만에 IPTV와 OTT 등에 풀리고 TV나 컴퓨터로 영화를 보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극장 상영 중에 IPTV 등에서 '동시 상영'하거나 극장 개봉을 안 거치고 OTT로 직행하는 영화도 늘어났다. 이에 유예 기간을 4개월 또는 6개월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돼 왔다. 정부가 지원하는 모태펀드 투자작만 적용하며 제작비 30억원 이하 작품을 제외하는 등 예외 규정을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추진' 영화 홀드백에 다수 "생소" "부정적"

이에 OTT 업계에서는 홀드백이 시청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규제라고 반발하고 있다. 시청자는 드라마뿐 아니라 영화도 OTT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볼 수 있기를 원하는데, 홀드백을 의무화해 일정 기간 극장 상영을 거치도록 한다면 시청자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는 것이다. 또 홀드백을 도입해도 극장 방문자 수가 늘어나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홀드백 찬반 논란이 이어지자 문체부는 발표를 미뤘고 해당 규정 도입에 따른 영화업계, OTT 업계 등 관련 업계 반응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사에서 영화 소비자 10명 중 7명(71%)은 홀드백에 대해 생소하다고 답했다. 또한 ‘들어는 봤으나 내용은 잘 모름’이 24%에 달했으며 ‘들어봤고 내용도 잘 알고 있음’은 5%에 그쳤다. 적정한 홀드백 기간에 대해서는 ‘시장 자율에 맡기는 것이 좋다’가 46%로 가장 많았고 △‘1~3개월(40%)’ △‘4~6개월(14%)’ 순이었다. 특히 홀드백 규제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응답자의 경우에도 다수가 ‘1~3개월’을 지지했다.

'정부 추진' 영화 홀드백에 다수 "생소" "부정적"

이어 홀드백 제도를 평가한 질문에 '한국영화만 적용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69%, 복수 응답)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제도'라는 응답도 58%를 차지하는 등 부정적 시각이 다수였다.
'한국 영화산업(특히 극장 관람)에 활기를 불어넣을 제도', '극장 관람객이 늘어날 것'(22%) 등 긍정적인 응답률은 낮았다.

아울러 이 기관은 극장 이외의 채널로 영화를 보는 소비자의 경우 실제로 홀드백 기간이 늘어난다고 해도 극장에 가서 볼 것 같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OTT, 유튜브 요약본, 유·무료 VOD 등 극장이 아닌 다른 플랫폼을 선택할 것으로 보여 홀드백 제도를 통한 극장 관객 유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