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신용카드

高물가 지속될수록 '교육 양극화' 시계 빨라진다..."빈부격차 고착화"

김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17 15:40

수정 2024.04.17 15:40

BC카드 분석 결과 교육 매출 전년 동월 대비 하락폭 타 분야 比 2배 이상 높아 소득 낮아질수록 교육비 감소폭 높아 '교육 양극화' 가속 우려
BC카드 분석에 따르면 교육 분야의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교육 양극화 현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연합뉴스
BC카드 분석에 따르면 교육 분야의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교육 양극화 현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고물가가 지속되며 '계층이동의 사다리'로 기능하던 교육 분야에서도 매출 감소 현상이 포착됐다. 특히 평균소득이 낮은 분위에서의 지출 감소가 두드러지며 '교육 양극화 현상'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 가운데, 교육비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던 알짜카드가 연이어 단종되며 일각에서는 서민들의 교육비 지출 감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카드사들의 업황 개선을 위한 규제개선 등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7일 BC카드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지난달 발생 매출이 모든 분야에서 감소한 가운데 특히 교육 분야에서 모든 분야 업종 중 가장 높은 26.7%에 달하는 매출 감소가 나타났다.

올해 1·4분기에 발생된 교육 분야 매출 역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8%(1월), 24.0%(2월), 26.7%(3월) 등 매월 20% 이상씩 감소하면서 하락폭을 키우는 추세다.

BC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교육 분야에서의 매출 하락 원인을 시점별로 분석한 결과, 본격적으로 물가가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1.1% 감소했으며 올해 1·4분기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4.5% 급감한 것이 확인됐다.

지속되는 고물가로 인한 교육비 지출이 감소가 '교육 양극화 현상'을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연간 가계동향조사 결과 소득 5분위별 소비지출 구성 항목 중 교육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분위를 제외한 모든 분위에서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평균소득 중∙상위권인 3~5분위 내 가구당 교육비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최대 25.9%까지 늘어난 반면, 상대적으로 평균소득이 낮은 1~2분위에서의 교육비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2.4%, 19.7% 감소하는 등 소득수준에 따른 교육비 지출 격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상도 발생했다.

올해 1·4분기 교육 분야에서의 매출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는 △예체능학원(57.8%↓) △보습학원(44.9%↓) △외국어학원(42.1%↓) △독서실(39.3%↓) 등에서의 매출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BC카드 제공
BC카드 제공

교육 업종 측면의 매출 감소와 교육 양극화 현상이 사회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우상현 BC카드 부사장은 “어려운 경제 상황과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마지막까지 유지한다고 알려진 교육비가 3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면서 “사교육비 지출 감소로 교육 양극화가 심화될 경우 저출산 증가 요인으로도 파급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채상미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또한 "교육이 빈부 격차를 상쇄하거나 사다리 효과를 내는 중요한 도구였는데, 교육비 지출에 있어 양극화가 심화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빈부 격차가 고착화된다는 의미"라고 바라봤다.

일각에서는 교육비 할인혜택 카드 등 일상 속에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서민들이 애용하는 '알짜 카드'가 대거 단종돼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실제로 여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8개 전업카드사에서 단종된 카드는 458종으로 전년(116종) 대비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중에는 학원비 특화 카드로 전월 실적 30만 원만 충족하면 학원비 100만 원당 5%(최대 5만 원 상당)를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로 적립되는 '신한카드 더 레이디 클래식' 등이 포함됐다.

'알짜카드' 단종은 카드사들의 업황 악화 영향이 가장 크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인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 본업에서의 수익 저하로 인한 카드사들의 비용 절감의 일환"이라며 "카드사가 본업인 결제업에서 적극적인 영업을 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