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2%대 물가' 점점 멀어진다

이창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4.21 17:57

수정 2024.04.21 17:57

정부가 한쪽 누르면 다른쪽 올라
중동사태 등에 유가·환율도 상승
"하반기에도 2%대는 어려울듯"
국책기관·전문가 전망 '먹구름'
"韓 물가상승률 OECD 3위"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사진은 2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사과. 연합뉴스
"韓 물가상승률 OECD 3위"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통계가 집계된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사진은 2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사과. 연합뉴스
'2%대 물가 조기 안착' 목표가 하반기에도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안정세 초입마다 상방압력을 줄이지 못하며 좀처럼 3%대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양새다.
국책연구기관 등에서 지적한 대외 불안정성도 중동사태 등으로 위험성이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우선 경제과제의 자리를 물가가 차지하고 있다.

21일 기준 통계청 기준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2, 3월 연속으로 3%대 위로 올라서 있다. 1월 반짝 2.8%로 내려앉은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돌아왔다.

정부와 물가가 '두더지게임'을 하듯이 한 분야 물가가 안정세로 들어서면 다른 분야가 뛰어오르고 있다. 물가가 안정되면 모든 정책적 역량을 경기부양에 투입하겠다는 것이 1기 경제팀의 기조였지만 2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최우선 과제는 물가로 남아 있다.

지난해 작황부진으로 농산물 가격이 물가를 끌어올리며 정부는 1500억원의 긴급가격안정자금을 시장에 투입했다. 도매 단계부터 납품단가를 할인했고, 즉각적인 생산량 회복이 어려운 품목은 대체품목의 직수입 물량을 확대해 수급에 나섰다.

사과, 배 등 오름세의 주요인으로 지목받던 품목의 가격은 4월 들어 하락세를 보이지만 배추, 양배추 등 다른 채소류 가격이 뛰어오르고 있다. 농산물 가격 전반은 지난달 18일 '무제한·무기한'의 가격안정대책이 진행 중인데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등에서 지목한 대외 불안정성 역시 여전히 확대 일로를 걷고 있다. 특히 잠시 내림세를 보이던 국제유가가 다시 치솟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 런던ICE 선물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90.02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일몰을 앞뒀던 유류세 인하 역시 연장이 불가피해졌다. 3조원 가까운 세수를 거둘 수 있는 세목을 물가안정을 이유로 1년 넘게 보류하고 있다. 환율 역시 고공행진 중이다. 대외지표인 수출에는 청신호가 켜졌지만 5개월째 '둔화' 진단을 받은 내수 부문에는 동력을 더 크게 앗아가는 요인이다. 통상 1200원대를 정상범위로 간주하던 환율은 1390원까지 치솟았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워싱턴DC 현지에서 화상으로 기재부 주요 간부들과 긴급 대외경제점검회의를 열고 범부처 비상대응체계 강화를 주문하고 나섰다. 여전히 물가가 긴급상황에 놓여 있다는 인식이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전까지의 물가 문제는 방만한 재정운영 등 내부적인 문제였다면 향후 물가 문제는 유가상승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것"이라며 "유류세 인하 등 디스인플레이션 정책 등 이미 시행 중인 정책의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