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국방우주산업 육성 위해 관련분야 '전문기업 지정제' 도입 검토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14 12:06

수정 2024.05.14 12:06

방사청, 제3회 다파고(DAPA-GO) 2.0 소통 간담회 개최
[파이낸셜뉴스]
우리 군의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지난달 8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 발사장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우리 군의 군사정찰위성 2호기가 지난달 8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스페이스센터 발사장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방위사업청은 국방 우주분야 무기 개발 등 군사력 건설을 위한 방위력개선사업에 우선 참여할 수 있는 국방 우주분야 전문기업 지정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방사청에 따르면 대전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석종건 방사청장 주관, 제3회 다파고(DAPA-GO) 2.0 소통 간담회를 개최하고 우주산업 유인 및 육성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방 우주분야 기업들과 대전시, 육·해·공군 등이 함께 국방우주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관련 육성정책 및 전략과 첨단 기술력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국방기술품질원을 통해 국내 우주기업의 제품을 인증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내년부턴 위성체계 부품을 시험·인증할 수 있는 국방우주인증센터 구축 사업에 착수한다는 게 방사청의 계획이다.

석 청장은 "국방우주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방우주분야에 대한 표준·인증체계 구축 등 관련 지원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며 "정부는 앞으로 민간의 첨단우주산업과 기술을 집중 육성을 위해 제도적 지원과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민간 우주기술의 군활용성 확대를 통해 우주발전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방우주분야 중소기업들은 간담회에서 위성 제작 등 우주분야 무기체계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시험설비와 발사장을 중소기업에서 자체 확보하기엔 비용과 장소 등의 많은 애로사항이 있음을 언급했다.


아울러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시범사업이나 인증 시스템의 구축 등을 통해 국방우주산업을 육성해 줄 것을 건의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