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집단테러 당해"..의사 3000명 증원 제안한 병원단체, 신상털기 나선 의사들

문영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15 05:00

수정 2024.05.15 05:00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임현택 의협 회장의 페이스북. 사진 페이스북 캡처
임현택 의협 회장의 페이스북. 사진 페이스북 캡처


[파이낸셜뉴스] "의대증원 3000명"의견을 정부에 냈던 대한종합병원협의회(협의회)가 일부 의사로부터 집중포화를 받고 있다.

14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한종합병원협의회의 임원 명단이 의사 커뮤니티에 퍼지고 있다.

협의회가 공격 대상이 된 것은 지난 1월 의대 증원 규모를 제시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매년 3000명씩 5년간 총 1만5000명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협의회 제안은 정부의 ‘5년간 매년 2000명 증원’ 계획보다 증원 규모가 더 크다.
협의회는 “종합병원의 응급실·수술과 등 필수의료 현장에서 근무하는 의사가 없고 심각한 구인난 및 이로 인한 의사 인건비 급등으로 종합병원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소병원보다 크고 상급종합병원보다 작은 종합병원 40여곳이 속한 단체인 협의회는 의사 구인난과 이로인한 경영난을 이유로 의대 증원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협의회는 10년간 매년 의대생을 1500명 증원하고, 의전원생 1000명을 5년간, 해외 의과대학 졸업생 면허교부 및 해외의대 졸업 한국인을 500명씩 5년간 각각 늘리는 안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졸업정원제 부활 △전공의 근무시간 제한 제도 폐지 △의료전달체계와 수가체계 개선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후 의사 커뮤니티에는 단체의 회장과 부회장, 고문 등 임원의 소속 병원, 직책을 담은 글이 퍼졌다.

특히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자신의 SNS에 협의회의 회장이 원장인 병원을 공개 저격하며 “○○병원의 의료법,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법, 의료사고, 근로기준법 위반, 조세포탈, 리베이트, 기구상 수술 등 사례를 대한의사협회에 제보해 주시기 바란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돈 없어서 치료 못 받는 취약계층은 모두 ○○병원으로 보내주길 바란다. 의료인으로서 할 수 있는 최고의 봉사라고 생각하신답니다. 원장님의 꿈을 이루어드리자”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협의회는 “집단 테러를 당하는 것 같다”며 곤혹스럽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협의회 소속 한 병원 원장은 중앙일보에 “수 억원을 주고도 의사를 못 구하는 현실 때문에 증원 찬성 의견을 냈을 뿐인데 협박성 연락이 빗발치고 있다”라며 “과도한 신상털기와 비방으로 괴롭다”라고 난감해했다.


다른 원장도 “필수의료 의사를 구하기 어려워 협의회 입장에서는 (병원) 생존의 문제를 이야기한 것”이라며 “의사들은 우리를 경영자라고 비판하지만, 병원은 의사의 것이 아니다. 환자와 국민을 위한 곳”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 관계자는 "법원에 제출한 자료가 의도치 않게 공개되면서 이런 글들이 나오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의대정원 배정위원회 명단도 이런 일을 우려해 공개를 안 했던 것"이라고 전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