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인터넷/SNS

네이버, 일단 라인야후 지분 매각 안 해…불씨는 여전

임수빈 기자,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14 19:51

수정 2024.05.14 19:51

관련종목▶


라인플러스 본사. 사진=임수빈 기자
라인플러스 본사. 사진=임수빈 기자

[파이낸셜뉴스] 네이버가 일본 정부에 제출하는 행정지도에 따른 조치 보고서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 내용은 넣지 않기로 했다. 다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소프트뱅크 측과의 협의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라인야후' 사태가 본격 장기전에 돌입했다는 전망이 나온다.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매각 '일단' 안 한다
14일 복수의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한국 정부에 이 같은 의사를 전달했다. 행정지도에 대한 대책 보고서에 자본구조 변경 내용은 담기지 않게 됐고, 적어도 행정지도로 인해 지분을 매각하는 것은 피하게 됐다.

이로써 일본 정부 요구로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을 조기에 매각할 가능성은 낮아져, 단기 매각 이슈는 당분간 잠잠해지게 됐다. 그러나 네이버가 중장기적으로 라인야후 경영과 관련해 매각 여부를 고려할 수 있어 여지는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서울 용산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네이버와는 계속해서 소통하고 있다"며 "7월 1일까지 일본 정부에 라인 야후가 제출하는 행정지도에 따른 조치 보고서에 지분매각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정부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침해 사고를 빌미로 네이버에게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행정지도 형식으로 압박해, 네이버의 지분 매각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확산된 바 있다.

네이버의 이 같은 결정으로 일본 정부가 다시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에 이어 이날에도 브리핑을 갖고 "일본 정부도 수 차례 이번 행정지도에 지분매각이라는 표현이 없고, 경영권 차원의 언급이 아니라고 밝혔다"며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되는 경우 일본 정부가 자본구조와 관련돼 네이버의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선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7월 1일 이후는? 아직 안 끝난 논의
당초 지분 매각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지만 상황이 바뀌면서, 네이버도 결정하기 더 복잡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분 관계를 두고 논의를 지속하게 될 경우, 라인을 두고 여러 사업이 얽혀 있는 만큼 협의에 도달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따른다. 특히 라인야후가 100% 지분을 보유한 Z인터미디어트글로벌은 미국, 중국, 동남아 등 글로벌 사업을 맡은 한국법인 라인플러스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외에도 라인게임즈, IPX 등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사업권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현재 라인플러스 등 라인 계열 한국법인 직원 수는 총 25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협의가 장기화될 경우, 이들에 대한 고용 불안 문제도 남아 있다. 이에 이은정 대표 등 라인플러스 경영진은 이날 오후 6시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했다.
설명회에서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간 매각 협상 진행 상황, 고용에 관한 경영진의 입장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만난 한 직원은 "라인과 야후재팬 합병 당시 경영진에서도 생각이 있었을 것 같다"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또 다른 직원은 "간담회에서 긍정적인 방향을 많이 제시해줬다"고 귀띔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