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저축은행 여신 14개월 연속 감소세…27개월 만에 최저 수준

연합뉴스

입력 2024.05.19 06:14

수정 2024.05.19 06:14

나신평 "충당금 1조∼3.3조 더 쌓아야…올해도 순손실 불가피"
저축은행 여신 14개월 연속 감소세…27개월 만에 최저 수준
나신평 "충당금 1조∼3.3조 더 쌓아야…올해도 순손실 불가피"

'제2금융권 '대출 부실' 문제 수면위로…2금융권 기업 연체율, 7년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非)은행 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을 중심으로 기업 대출의 연체율까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81%)보다 0.43%포인트(p) 뛰었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사진은 1일
'제2금융권 '대출 부실' 문제 수면위로…2금융권 기업 연체율, 7년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非)은행 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을 중심으로 기업 대출의 연체율까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81%)보다 0.43%포인트(p) 뛰었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사진은 1일 서울의 한 저축은행 간판. 2023.5.1 mon@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저축은행 업권의 대출 규모가 1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2년3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101조3천777억원으로 전달(102조3천301억원)보다 9천524억원(1.0%) 줄었다.

저축은행 업권 여신 잔액은 지난해 1월 115조6천3억원을 기록한 이후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으며 지난 2021년 12월(100조5천883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줄었다.

이런 대출 감소는 고금리 등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업권은 2022년 말 고금리 특판 상품으로 이자비용이 증가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 부담이 늘어나면서 보수적인 대출 영업을 이어갔다.

올해도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충당금 적립이 늘고 경·공매 부담이 가중되면서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부동산 PF 손실인식 현황과 추가손실 전망'이란 보고서에서 저축은행 업권이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안에 따라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충당금 규모를 1조∼3조3천억원으로 분석했다.

또한 저축은행 업권의 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5천633억원에서 올해 최대 2조2천억원까지 손실 규모가 커질 수 있다고 봤다.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은 작년 말 14.4%에서 올해 말에는 12.3∼14.4%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나신평은 "손실흡수여력이 미흡한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의 권고 수준인 11%에 미달하는 BIS자본비율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돼 추가적인 자기자본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호한 자본적정성, 대주주의 지원능력을 고려하면 과거와 같은 저축은행 사태의 재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라며 "다만, 부동산시장의 빠른 회복이 전제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충당금 수준은 낙관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나신평은 지난 14일 발간한 저축은행의 가계 및 개인사업자 대출 위험을 분석한 보고서에서도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와 경기회복 지연은 부동산PF 관련 부담 요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가계부문 가처분소득 감소와 개인사업자 경영 환경악화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이어지면서 가계 및 개인사업자대출의 여신건전성도 저하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신평은 "저축은행의 강화된 자본 완충력 등을 고려할 때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지만, 실적 저하가 크게 나타난 저축은행은 신용등급에 반영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저축은행 관계자는 "BIS 자본비율이 14.85%인데 사업성 재평가로 인한 추가 충당금 적립과 구조조정에도 이 비율은 채 1%포인트도 내려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buil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