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코스닥

[특징주]한싹, 망분리 완화안 내달 발표 생성형AI 개발 활성화 기대...망간자료전송 솔루션 부각↑

최두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13:09

수정 2024.05.23 13:09

관련종목▶

금융위원회 전경. 사진=뉴스1
금융위원회 전경.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한싹이 장중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을 비롯한 금융 서비스 혁신을 위해 금융업계가 망분리 규제 완화를 강력 요청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이르면 내달 규제 합리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23일 오후 1시 8분 현재 한싹은 전 거래일 대비 4.33% 오른 9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와 은행, 카드사 등은 금융당국의 망분리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진행하는 등 고위급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있다. 이를 통해 금융 IT분야 연구개발 활성화, 생성형AI 기술 활용 시 내·외부 시스템 연계, 업무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을 위해 망분리 규제 완화를 건의하고 있는 것이다.

망분리 제도 도입 후 10년이 지난 만큼 변화된 정보기술(IT) 환경에 맞게 SaaS에 대해서는 전향적으로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규제 완화를 통해 업무 처리가 빨라지고, 고객 신용정보를 활용한 생성형AI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자금융감독규정 15조에 따르면 금융회사는 내부통신망과 연결된 내부 업무용시스템은 인터넷을 비롯해 외부통신망과 분리·차단해야 한다.

하지만 구글 제미니(Gemini), GPT-4 등의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활용하려면 해외서버와 인터넷 연결이 필수적이라 생성형AI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소식에 투자자들은 망간자료전송 솔루션 '시큐어게이트'를 개발한 한싹에 주목하고 있다.
한싹의 시큐어게이트는 CC인증 최상위 보안등급 EAL4, GS 1등급을 획득했으며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등 450여개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또 클라우드의 경우 구간연계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클라우드 전용 망간자료 전송에 대한 개발을 완료했다.
이를 기반으로 AWS, Azure, kt클라우드, 구글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클라우드, 삼성클라우드 등 국내외 대표 CSP와 기술 제휴를 맺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