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리기태 방패연, 신윤복 작품과 함께 파리에 전시

유선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13:58

수정 2024.05.23 13:58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10월 5일까지 특별전
파리올림픽 기념 한국의 놀이문화 집중조명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은 22일(현지시간) 다양한 한·불 문화예술기관과 협력하여 한국의 놀이 문화를 집중 조명하고 다채로운 체험을 제공하는 특별 기획전을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했다. 김혜영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총괄팀장, 리기태 한국연협회 회장,최재철 주프랑스 한국대사,이일열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왼쪽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연협회 제공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은 22일(현지시간) 다양한 한·불 문화예술기관과 협력하여 한국의 놀이 문화를 집중 조명하고 다채로운 체험을 제공하는 특별 기획전을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했다. 김혜영 주프랑스 한국문화원 총괄팀장, 리기태 한국연협회 회장,최재철 주프랑스 한국대사,이일열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왼쪽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연협회 제공

연 명장 '리기태' 방패연이 혜원 신윤복 작품과 함께 프랑스 파리에 전시됐다.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인 파리 올림픽·패럴림픽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원장 이일열)은 한·불 다양한 문화예술기관과 협력하여 한국의 놀이 문화를 집중 조명하는 특별 기획전을 지난 22일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했다.
이번 특별전은 오는 10월 5일까지 전시된다.

문화원은 이번 전시를 통해 민속놀이 연날리기 등 신윤복의 조선시대 풍속도에 나타난 풍류와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전통 놀이, e-스포츠로 대표되는 현재의 놀이, IT 기술을 접목한 놀이, 가상 세계에서 즐기는 콘텐츠 등 미래의 놀이까지 소개한다.

이번 전시회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원, 국가유산청, 국립기메동양박물관, 한국연협회, 리기태연보존회, 국가유산진흥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간송 미술관, LG전자, NH농협, 아모레퍼시픽, ID KAIST, ㈜범주 등이 협업했다.

리기태 방패연 명장(한국연협회·리기태연보존회 회장)의 방패연도 국내 최초로 전시된다.

리기태 명장은 19세기 조선시대부터 3대째 한국 전통연을 계승해 오고 있는 장인이다.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보테가 베네타’가 전 세계의 소규모 장인 공방을 조명하는 ‘2023 보테가 포 보테가스(Bottega for Bottegas)’에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선정됐다.

한 언론사는 “리기태 명장의 방패연은 압도적인 크기뿐만 아니라 마치 ‘탈’을 연상시키는 익살스러운 표정도 눈길을 끈다"면서 "동시에 초승달부터 보름달까지 달의 변화를 담은 듯한 눈썹의 눈의 조화, 태극기의 건곤감리를 연상시키는 흰색과 검은색, 붉은 색과 푸른빛의 사용, 대지와 태양을 연상시키는 초록과 노란색 등 다채로운 색상으로 현대 추상 회화 같다"고 표현했다.

또 "무엇보다 한지와 대나무살로 팽팽하게 긴장감을 조성하는 연의 모습에서 중력을 거스르려는 자유와 해방감을 읽을 수 있다"면서 "연을 바람에 날리며 하늘을 나는 경험을 대신할 수도 있고, 희망을 담아 올려보낼 수도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연협회·리기태연보존회 회원들의 방패연 작품도 전시됐다.

한지와 대나무로 만든 과학적이고 아름답고 화려한 한국의 전통 방패 연이 서양인들의 눈을 사로잡을 전망이다.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보테가 베네 타가 '보테가 포 보테가스(Bottega for Bottegas)'를 발표하며, 한국에서 최초로 리기 태 방패연 명장이 운영하는 리기태 방패연 공방을 선정한 바 있다. 한국연협회 제공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보테가 베네 타가 '보테가 포 보테가스(Bottega for Bottegas)'를 발표하며, 한국에서 최초로 리기 태 방패연 명장이 운영하는 리기태 방패연 공방을 선정한 바 있다. 한국연협회 제공

이번 특별전에서는 250년 전 신윤복의 혜원 화첩에 잠들어있던 한양의 풍경을 디지털 기술로 되살려낸 미디어아트 작품도 보여진다.

간송미술관은 18세기 풍속화가 신윤복의 대표작인 '혜원전신첩(국보 135호)'에 수록된 작품들을 대형 이미지로 확대 해 혜원의 붓 터치를 더욱 생생하게 느끼게 하고 한국문화재재단의 가상현실 영화를 통해 조선시대의 일상생활을 판소리와 함께 몰입하여 즐길 수 있게 했다.

특히, 한국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문화원은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와 협력하여 전통과 미래 놀이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국립기메동양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19세기 말 풍속화가 기산 김준근의 작품 25점도 선보인다.

씨름, 줄다리기, 제기차기, 그네뛰기 등 작품에서 생생하게 묘사된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한국의 전통 놀이뿐만 아니라 당시 생활·풍속을 소개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뜻깊다.

이일열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은 “세계인의 축제 파리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이번 특별전이 프랑스 관객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관객들에게 한국 놀이의 전통과 미래를 조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문화원장은 "이번 특별전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대한민국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오늘과 미래에 이르기까지 세시풍속을 떠나 한국인 삶의 중심으로 하는 놀이 문화를 폭넓게 기획됐다"고 덧붙였다.



rsunjun@fnnews.com 유선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