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일반

"AI 거버넌스, 국제적 차원의 지속적 논의 필요"

조윤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14:25

수정 2024.05.23 14:25

개인정보위-UN, 'AI시대, 데이터 거버넌스 미래' 컨퍼런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인공지능과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콘퍼런스에서 세션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개인정보위 제공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인공지능과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콘퍼런스에서 세션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개인정보위 제공

[파이낸셜뉴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UN 기술특사 등 AI 자문위원과 국제기구, 국내외 AI 전문가 등과 함께 AI 시대 데이터 거버넌스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다.

개인정보위는 23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AI와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컨퍼런스'를 열었다. 이 자리는 개인정보위가 UN AI 고위급 자문기구(UN AIAB)와 함께 마련한 자리로, 전 세계의 AI 및 데이터 관련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AI와 데이터 거버넌스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갔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개별 국가마다 AI를 안전하게 활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국가·지역별로 파편화된 규범은 AI 기술을 통한 혁신이나 규율 체계 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며 "긴밀한 국제적 소통·협력과 유연한 사고에 기반한 논의과정을 통해 인류 전체가 함께 번영을 누릴 수 있는 조화롭고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아만딥 싱 길 유엔 기술특사는 기조연설에서 “데이터와 AI 거버넌스는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며 "이는 데이터가 AI 시스템에 투입되는 핵심 원천일 뿐 아니라, AI 모델이나 결과만 보아서는 AI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길 기술특사는 이 때문에 UN AIAB가 국제 AI 거버넌스 다섯 원칙 중 하나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포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세션에선 임용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진행으로 유엔 등 공공부문 전문가 그룹과 산업계 그룹으로 나뉘어 AI 거버넌스와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를 각각 진행했다. UN AIAB 자문위원 등 공공부문 전문가가 참여한 첫 번째 세션에서는 ‘글로벌 AI 거버넌스’를 주제로 ‘국제 공조와 상호운용성의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라티파 알 압둘카림 유엔 UN AIAB 자문위원이자 사우디아라비아 국회의원은 디지털 격차를 넘은 협력을 촉진하고, 소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국제 AI 거버넌스를 이행할 유연하고 포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데니스 웅 싱가포르 개인정보 감독기구 부위원장은 "포용적인 글로벌 협력이 기술 발전과 신뢰성 있는 AI 생태계 구축의 핵심 요소"라고 했다. 패널로 참여한 아만딥 싱 길 유엔 기술특사는 "편향되고 오도하는 추론, 개인의 불안과 행태 조작, 부분적이고 비인간적인 표현 등은 모두 적절하지 않은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기인한다"며 "올바른 데이터 거버넌스는 공공 및 민간 부문 전반에서 올바른 이용과 신뢰할 수 있는 협력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은 '글로벌 AI 맥락의 데이터 거버넌스'를 주제로 산업계 인사들의 의견이 교환됐다.
멜린다 클레이보 메타 프라이버시 정책 디렉터는 "AI와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다양한 국제적·국내적 이니셔티브 간 조율 방안에 대한 의견교환이 기대된다", 애슬리 판툴리아노 오픈AI 법률고문은 "오픈 AI의 툴이 사람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AI 기술에 위험이 동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AI를 안전하고 이롭게 유지하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유니스 훵 구글 아태지역 인공지능 및 신흥기술 부서장은 "AI가 대다수 분야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일하고, 배우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데이터 개방성은 지속적 혁신을 가능케 하는 환경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AI가 제공하는 기회를 모두가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사려 깊고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센터장은 "데이터와 AI 거버넌스에 있어서 각 국가와 지역의 주권(Sovereignty)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프론티어 AI와 같은 강력한 생성형 AI의 오픈소스화를 위한 안전한 거버넌스 체계는 특정 기업만의 결정이 아닌 정부와 글로벌 커뮤니티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합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