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기업·종목분석

하반기 美진출 기대감… 화장품 이어 방산株 들썩

최두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18:06

수정 2024.05.23 18:06

외인 항공우주 주식 대거 순매수
한화에어로는 52주 신고가 경신
미국발 수혜가 예상되는 관련 업종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 화장품에 이어 방산도 미국 덕분에 기업가치 상향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최근 국내 방산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7일 이후 12거래일 연속으로 한국항공우주의 주식을 사들였고, 이달 들어 LIG넥스원에 대해 214억원의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한 달 사이 703억원에 달하는 외국인 순매수가 몰려 지난달 26일 장중 24만95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국내 방산업체들의 미국 진출을 기대하고 있다.
주요 품목은 LIG넥스원의 'K-LOGIR(비궁)', 한국항공우주의 T-50계열 훈련기 'TF-50N',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SMET(아리온스멧)'이 거론된다.

DB금융투자 서재호 연구원은 "동유럽, 중동, 아시아·태평양 지역과 다르게 미국으로의 수출은 1000조원 규모 무기 시장으로의 접근, 수출 경쟁력 확보 등 잠재 이익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비궁은 오는 7~8월로 예정된 환태평양훈련(RIMPAC)에서 해외비교성능시험(FCT)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TF-50N은 올해 8~9월 미국 해군 훈련기 도입 사업(UJTS)의 정보제안요청(RFI)이 나올 전망이다. 아리온스멧은 지난해 12월 FCT 프로그램을 통과하고, 오는 2027년 2000여대의 무인차량 도입 사업인 'S-MET II'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지원도 투자심리 개선에 한몫하고 있다. 국방 분야의 자유무역협정(FTA)로 불리는 국방상호조달협정(RDP-A)을 통해 대미 수출 효과가 기대된다.
서 연구원은 "미국은 다른 나라 무기를 도입할 때 미국산 부품이 원가 기준 55% 이하일 경우 수출원가에 50% 할증을 부과한다"면서 "RDP 협정을 맺으면 이를 적용받지 않는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은 일본, 호주 등 28개국과 RDP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RDP MOU 협정 전후 해당 국가들의 방산부문 무역수지를 살펴보면 대미 수출액은 체결연도에 91.2% 증가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