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中직구 어린이 시계·목걸이서 중금속 최대 278배 초과 검출

이설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3 18:14

수정 2024.05.23 18:14

서울시, 7개 제품 안전성 검사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직접 구매한 어린이용 장신구에서 유해 중금속이 기준치보다 최대 278배나 많게 검출됐다.

서울시는 쉬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목걸이, 시계, 헤어핀 등 총 7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시계 1개와 목걸이 1개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납·크로뮴·니켈)이 기준치의 최대 278배 초과해 검출됐다고 23일 밝혔다.

우선 어린이용 시계에서는 시계의 태엽을 감는 꼭지인 용두 부위에서 납이 기준치 대비 278배 초과 검출됐다. 시계 뒷면 금속 부위에 대한 용출시험 시 크로뮴이 3.43배 초과 검출됐다. 니켈 또한 4.4배 초과 검출됐다. 어린이용 목걸이에서는 펜던트 금속 부위에서 납이 기준치 대비 1.17배 초과 검출됐다.


안전기준 이상으로 납에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암 위험도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과 행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크로뮴은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어 급성 및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염 유발 가능성이 있다. 또 호흡기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현기증,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니켈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가려움, 발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장기간 노출 시 호흡기 독성이 있을 수 있다.

이번 안전성 검사를 통해 패션에 특화된 중국 온라인 패스트 패션 플랫폼 쉬인에서도 안전성 부적합 제품이 판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해외 플랫폼(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외에도 국내 이용자 수가 많은 해외 플랫폼으로 검사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시민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3월 해외직구 제품 31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결과 8개 어린이제품 등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유해물질을 검출했다.
이후 해외직구 상품에 대해 상시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하고 전담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내용을 담은 '서울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안전 확보대책'을 4월에 발표했고, 4월 넷째 주부터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한 뒤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