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기업·종목분석

엔비디아 젠슨황, AI서버 전력 문제에..."LPDDR이 전력 소모 줄여" 강조

김경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4 13:58

수정 2024.05.24 13:58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LPDDR 경쟁 후끈
에이팩트, 양사 고객사에 LPDDR2 양산 제품 테스트까지 완료 ‘눈길’
젠슨황 엔비디아 CEO. (출처: 연합뉴스)
젠슨황 엔비디아 CEO. (출처: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있는 AI산업으로 인한 전력 부족 문제에 관해 LPDDR을 주목하고 있다.

앞서 젠슨황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모바일용 저전력 D램(LPDDR)을 사용해 서버의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AI서버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직접 LPDDR 제품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여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LPDDR 경쟁이 한 층 더 치열해질 수 있을 전망이다.

황 CEO가 언급한 서버는 엔비디아가 자체 개발한 중앙처리장치(CPU)인 '그레이스'가 탑재된 서버제품을 뜻한다. 그레이스에는 LPDDR5X 제품이 연결된다.

특이한 점은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에 대해서는 별도 발언을 내놓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LPDDR은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메모리로 많은 전력을 절약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HBM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LPDDR 시장에 대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황CEO의 발언으로 이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전해지면서 LPDDR2를 양산해 제품 테스트까지 완료한 에이팩트가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에이팩트는 메모리 제품 자체 프로그램 개발 및 인프라 구축 연구과제로 LPDDR2 2G(64M x32) + NAND 4G( x8, x16) 제품의 Test Program 개발 및 양산적용 완료한 사실이 있다.

주요 고객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두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곽민정 현대차증권 연구원도 “동사는 DDR5 테스트 비중이 확대될 것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DDR5 패키징 및 테스트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라며 “AI 반도체용 수요 증가에 따른 서버용 DRAM 수요 증가가 긍정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