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병원

의대증원 확정에 의대 교수들 "전공의 불이익시 강경대응"

강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4 17:23

수정 2024.05.24 17:23

지난 23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수술전협진실에 전체 휴진 안내문이 붙어있는 모습. 뉴시스
지난 23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수술전협진실에 전체 휴진 안내문이 붙어있는 모습.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의료계가 27년 만의 의대 증원 확정에 반발하고 나섰다.

24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오후 2시 30분부터 제2차 대입전형위원회를 열어 각 대학이 제출한 2025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 계획 변경 사항을 심의·승인했다. 이로 인해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은 기존 3058명에서 1509명 늘어난 4567명으로 확정됐다.

의대 교수들이 정부의 무리한 의대 증원 추진을 재차 규탄했다. 교수들은 의대 증원 최종 확정 시까지 단체 행동을 자제하고 환자 곁을 지키겠다면서도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을 받을 경우 강경한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이날 서울 송파구 울산대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 정원 배분 과정을 봤을 때 제대로 된 의학 실력을 갖춘 의사를 양성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정부는 올해 4월 초에서야 인력과 시설, 기자재 등 교육 여건을 조사했다.
정부가 주장하는 대로 오랜 기간 준비한 의대 증원이라면 최소 1년 전부터 대학의 인력과 시설, 기자재에 대한 충분한 실사를 통해 교육 여건을 확인하는 게 먼저였다"고 지적했다.

전의비는 "한국의 지역 의료와 필수의료 붕괴가 당장 올해 진행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을 완수하고 의사 집단을 찍어 누르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불합리하고 위험한 정책을 남발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학생들이 휴학할 수 있도록 인정하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전공의에 대해서도 각종 명령을 철회하지 않고 사직서도 수리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 태도에 변화가 없으니 전공의와 학생들은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의대 교수들은 아직 의대 증원 절차가 확정되지 않은 만큼 희망을 갖고 의료 현장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최창민 전의비 비대위원장은 "정부가 의대 정원 확정안을 발표할 때까지 교수들은 희망을 가지고 진료를 계속하겠다"며 "당장 환자에게 피해가 갈 일을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가 갑자기 전공의들의 의사 면허를 정지하면 상황은 달라질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이전에 논의한 것을 진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정부가 그런 상황을 만들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강조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