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우주사업 이관' 과기정통부, 원자력 연구 힘 싣는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5.26 12:00

수정 2024.05.26 18:21

연구개발정책실 산하 14 → 12과
미래에너지·융합기술 체계적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우주항공청 개청에 맞춰 우주 관련 사업을 우주항공청에 이관하고 앞으로 원자력과 핵융합 등 미래에너지 사업에 집중한다.

과기정통부는 1차관 아래에 있는 연구개발정책실을 14과에서 12과로 바꾸는 등 '과기정통부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개정'을 27일자로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우주 담당 부서가 있던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으로 명칭을 바꿨다. 우주 업무가 포함됐던 거대공공연구정책과는 과학기술로 국방·치안·복지·안전 등 사회문제 해결을 전담하는 공공융합기술정책과로 변경됐다. 또 거대공공연구협력과 대신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와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를 신설했다. 미래에너지환경기술과는 핵융합·청정 수소 등으로 대표되는 미래 에너지 기술과 가뭄·홍수 등 더욱 빈번해지는 기후 재난에 대비한 혁신적인 기후 적응 기술 개발을 전담한다.


이와 함께 기존 원자력연구개발과 아래 원자력연구협력팀을 새로 두면서 확대 개편했다. 초거대인공지능 활용·확산에 따른 안정적 에너지원 확보와 탄소중립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SMR 등 혁신형 원자력 기술개발과 우수한 국내 원자력 기술의 해외 진출도 더욱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공연구인프라혁신과를 신설해 가속기를 비롯한 대형연구시설의 운영 및 활용을 고도화하고, 대형연구시설이 연구개발 주체 간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부서에서는 갈수록 중요성이 커져가는 연구 데이터의 체계적 활용·확산 정책도 수행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아래 있는 과도 개편했다. 생명기술과는 첨단바이오기술과 아래 팀으로 두고 융합기술과는 나노소재기술 부분을 원천기술과에, 나머지 부분을 공공융합기술정책과로 옮겼다.


한편, 기존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그 기능과 정체성이 더욱 명확하게 부각되도록 연구성과혁신관으로 개편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