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인턴 1237명 중 200명 중도 퇴직
공문열람 등 권한 없으니 시킬 일도 없어
사무관도, 청년인턴들도 제도에 불만 ↑
공문열람 등 권한 없으니 시킬 일도 없어
사무관도, 청년인턴들도 제도에 불만 ↑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정부 중앙부처가 채용한 청년인턴 6명 중 1명은 ‘중도 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부 부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각 부처가 채용한 청년인턴 1237명(누적) 중 계획한 임기(3~6개월)를 채우지 못하고 퇴직한 사람은 200명(16.2%)으로 집계됐다고 한국경제가 보도했다.
상반기 기준 청년인턴 2220명 중 327명 임기 중간 퇴직
중도 퇴직률이 가장 높은 부처는 국토교통부로, 청년인턴 82명 중 25명(30%)이 임기 도중 그만뒀으며 해양수산부(29.9%) 중소벤처기업부(25.8%) 국방부(25%) 순으로 이어졌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는 청년인턴 2220명 중 327명(14.7%)이 임기 중간에 퇴직했다.
4분기 기업 공채 시즌을 고려하면 연말로 갈수록 중도 퇴직 비율은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청년인턴 제도가 사업의 취지와 다른 방식으로 추진되면서, 조사 결과와 같이 다수가 중도퇴사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청년인턴에게 공무원 업무에 필수적인 공문 열람, 상신 등을 위한 권한을 부여하기 어렵고, 보안 때문에 시킬 일을 찾기도 어렵다는 점이 대표적인 문제로 손꼽힌다.
"취직활동에 도움 안돼" 인턴들도 불만
이 때문에 청년인턴을 관리 감독하는 대부분의 사무관들도 난감한 상황이다. 시킬 일이 없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시험이나 개인 공부를 하라고 방치해두는 경우가 태반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한 사무관은 한국경제를 통해 “인사혁신처가 청년인턴에게 소위 ‘잡무’를 시키지 말라는 공문을 보내왔는데, 아무리 살펴봐도 시킬 만한 일이 없다. 대개 NCS 시험이나 공부하다가 퇴근하라고 한다”라고 털어놨다. 인턴 기간 동안 얻는 게 없어 취직 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만큼, 청년인턴들의 불만도 크다.
또한 교육부는 지난 2월 청년인턴 260명을 채용한다는 공고를 올렸으나 본부 근무자는 2명에 그쳤고 대부분 강원대 경북대 한국체육대 등 국립대에 할당됐다. 기재부는 지난 4월 12명을 선발하는 청년인턴(2차) 채용공고에서 계약기간을 ‘5월 중~6월 30일’로 적시하는 등 청년인턴의 채용과 배치도 허술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