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내년부터 서비스 지원 지역을 기존 15개 시군에서 28개 시군으로 확대한다. '누구나 돌봄'은 급격한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을 고려해 '경기도민은 누구나 돌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 연령소득 제한 없이 위기상황에 놓인 모든 도민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해 도민 삶의 질을 높이는 사업이다.
올 1월 시흥 등 6개 시에서 우선 시작됐으며 5월 부천을 마지막으로 15개 시군에서 운영했다. '누구나 돌봄'은 경기도의 대표 복지정책 '경기 360도 돌봄' 가운데 하나다. '360도 돌봄'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3가지로 구성됐다. △연령·소득과 무관하게 위기 상황에 놓인 모든 도민을 지원하는 '누구나 돌봄' △아이 돌봄이 필요한 가정이라면 언제라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긴급돌봄을 제공하는 '언제나 돌봄' △기관·가정, 야간·주말 어디서나 장애인 맞춤 돌봄을 제공하는 '어디나 돌봄' 등이다.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본형과 확대형으로 나눠진다. 기본형은 용인, 평택, 화성, 부천, 광명, 양평, 과천, 가평, 연천 등 9곳이며, 시흥, 이천, 안성, 파주, 포천, 남양주 등 6곳은 확대형으로 운영 중이다.
2025년에는 수원, 고양, 안산, 안양, 김포, 광주, 군포, 양주, 오산, 구리, 의왕, 여주, 동두천 등 13개 시군이 기본형과 확대형 중 선택해 참여한다. 이에 따라 총 28개 시군에서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누구나 돌봄서비스는 관할 지자체 행정복지센터 방문이나 경기도 콜센터, 긴급복지 핫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jjang@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