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이후 텔레그램 신규 설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계엄령이 선포된 지난 3일 텔레그램의 신규 설치 건수는 457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메신저 업종 당일 전체 신규 설치의 절반 가까운 47.09%로 전날 신규 설치 건수가 9016건인 것과 비교하면 4배 넘게 뛴 것이다.
지난달 메신저 업종 신규 설치 1위는 네이버 라인으로, 텔레그램은 4위에 그쳤다. 라인은 지난 10월과 9월에도 신규 설치 1위를 차지했으며, 카카오톡은 2위 텔레그램은 3위 순이었다.
그러나 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네이버와 카카오의 포털 다음에 모두 트래픽이 몰려 접속 불안 현상을 빚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텔레그램을 새로 설치했다는 메시지가 다수 올라왔다. 여기에 통신 검열 등 최악의 사태를 대비해야 한다 등의 괴담까지 돌며 '디지털 망명' 분위기가 형성됐다.
계엄 선포 직후 앱스토어 등 인기 차트에서 50위권이던 텔레그램 인기는 3위까지 치솟았다.
계엄 정국이 오전까지 지속된 다음날에도 텔레그램 신규 설치는 3만3033건에 달했으며, 5일과 6일에도 1만건 넘는 신규 설치를 이어가며 메신저 분야 1위를 유지했다.
이 같은 추이는 국내에서 한동안 텔레그램 이용 추세가 주춤했으나 비상계엄 선포로 '디지털 망명'의 실체를 증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텔레그램은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으며, 이전부터 보안성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정치권과 관가 핵심에서 애용하는 메신저로 입소문을 타 왔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