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3당 의원들이 한국거래소를 찾아 비상계엄 선포 이후 증시 불안정 해소를 위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탄핵을 촉구했다. 다만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투입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10일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사회민주당 등 야3당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 12명은 이날 오전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대응 및 현장점검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강준현 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최근의 주식시장 및 금융시장이 맞닥뜨린 핵심적인 문제를 짚어봤다"며 "국내 증시를 빠르게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윤 대통령을 빠르게 탄핵하는 게 답"이라고 말했다.
야 3당 의원들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통과된 직후인 지난 4~6일 대비 탄핵소추안 부결 직후인 지난 9일 증시 하락세가 심화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민병덕 민주당 의원은 "이번 사태에서 국회가 계엄 해제를 요구했을 때보다 탄핵소추안이 불성립됐을 때 주가가 더 떨어졌던 것을 감안하면, 증시를 끌어내리는 것은 예측 불가능성"이라며 "증시가 안정되려면 현 정국이 빠르게 해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정무위원들은 증안펀드 투입과 관련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남근 민주당 의원은 "증안펀드 규모가 10조7000억원 정도인데, 투입됐을 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개인투자자들이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그보단 탄핵안 가결을 통한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이날 현장점검에 참석한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도 "2004년, 2016년과 달리 최근의 탄핵정국은 경기 사이클이 부진하고 관세 등 대외적 리스크가 부각돼 증시 펀더멘탈이 가장 취약해진 상황"이라며 "정치적 불확실성을 빠르게 완화하는 것이 당장의 증시 변동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3당 의원들은 상법 개정 등 탄핵정국 이전부터 추진한 증시 부양 정책을 지속하겠다고도 답했다. 민 의원은 "금융투자소득세 연내 폐지나 상법 개정을 비롯해 계엄사태 전부터 추진해왔던 일정은 기존대로 추진해갈 방침"이라고 답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