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와 기재부 고위급 화상 면담
최상목 "탄핵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
최상목 "탄핵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고 진단했다.
1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전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 고위급 인사와 화상 면담을 가졌다.
이번 면담에는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마리 디론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제임스 롱스돈 피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이 참석했다.
최 부총리는 "헌법, 시장경제, 위기관리 등 한국의 모든 국가 시스템이 종전과 다름없이 운영되고 있다"며 "과거에도 두 차례 탄핵 혼란이 있었으나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야당이 제안한 여야정 경제협의체에 정부가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경제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회와의 원활한 소통과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3사는 최근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며, 이번 사건을 통해 한국의 제도적 강인함과 회복력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은 "최근 사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시스템이 잘 작동했다는 점이 신용평가사에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사태 직후 이뤄진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의 신속한 시장 안정화 조치는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얼마나 강건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마리 디론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은 "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이러한 상황에서도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노력은 신용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의 상황을 감안했을 때 한국 경제에 대한 하방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없다는 데 공감한다"며 "한국의 견고한 법치주의가 높은 국가신용등급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임스 롱스돈 피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은 "과거 대통령 탄핵 시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 또한 마찬가지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위협할 수준은 아니다"라며 "한국 정부가 이번 사태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하고자 노력하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외국인 투자자 등 모든 경제주체가 평상시와 같이 안정적인 투자·경영 활동을 해나가는 데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며 "반도체·AI 인프라 확충 방안, 조선·항공·해운 경쟁력 제고 방안, 석유화학산업 지원 방안 등 한국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한 노력도 여전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글로벌 통상 질서 변화에 적기 대응하고, 한국의 잠재 성장 동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해외투자자의 신뢰와 대외신인도를 높이는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