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내년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은 비관적으로 전망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탄핵 정국 속에서 정치 성향에 따라 경기 전망이 상반된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성인 100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 따르면, 향후 1년간 우리나라 경기 전망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60%는 '나빠질 것'이라고 대답했다. 16%는 '비슷할 것', 19%는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전달보다 3%포인트 늘고 비관적 전망은 2%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갤럽은 "경기 낙관론은 대체로 정부 정책 방향에 공감·신뢰 정도가 강한 이들에게서 높은 편이다. 최근 (보수층에서) 두 달간 비관론이 크게 늘었다"며 "반면 진보층의 경기 전망은 오히려 덜 비관적으로 바뀐 점에 주목할 만하다"고 분석했다.
보수층의 경기 낙관론은 11월 23%에서 12월 16%로 감소했고, 비관론은 47%에서 56%로 증가했다. 반면 진보층의 경기 낙관론은 같은 기간 6%에서 19%로 늘었고, 비관론은 79%에서 60%로 줄었다.
갤럽은 이러한 변화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과 직무 정지, 탄핵 인용 시 조기 대선을 통한 정권 교체 기대감으로 설명했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진보층이 보수층보다 향후 경기를 더 긍정적으로 전망한 사례가 있었다.
자신의 살림살이 전망에 대해서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30%)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14%)보다 16%포인트 높았다. 53%는 '비슷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분쟁에 대해서는 46%가 '증가할 것', 19%가 '감소할 것', 25%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제관계 비관론은 지난 10월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두 달 연속 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 후 불확실성 해소, 금융시장 변동성 적응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5.5%였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