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6월말 ‘13.1%’...2010년 연체율 집계 이후 최고
높은 연체율에 대출잔액·이용자수는 지속 감소
금감원 “저신용자 신용공급 현황 면밀히 모니터링”
6월말 ‘13.1%’...2010년 연체율 집계 이후 최고
높은 연체율에 대출잔액·이용자수는 지속 감소
금감원 “저신용자 신용공급 현황 면밀히 모니터링”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자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지난해 말(12.6%)보다 0.5%p오른 13.1%로 집계됐다. 2021년 말 6.1%에 불과했던 대부업체 연체율은 2022년 말 7.3%, 2023년 말 12.6%를 기록한데 이어 13%를 돌파하면서 2010년 통계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담보대출 연체율이 17.3%로 지난해 말보다 0.3%p 뛰면서 연체율 상승세를 견인했다. 신용대출 연체율도 8.8%로 0.9%p 뛰었다. 같은 기간 평균 대출금리는 13.7%로 0.3%p 하락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2021년 법정 최고금리를 24%에서 20%로 낮춘 뒤 대형 대부업자의 개인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2021년 말 21.7%에서 2022년 말 20.0%, 2023년 말 18.5%, 6월 말 18.1% 등으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전체 대부업 대출잔액은 12조2105억원으로 지난해 말(12조5146억원) 대비 2.4%(3041억원) 감소했다. 높은 조달금리와 연체율 상승 등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신규 취급이 축소한 영향이다. 신용대출은 39.4%(4조8073억원), 담보대출은 60.6%(7조4032억원)로 집계됐다.
대부업체 이용자는 71만4000명으로 같은 기간 1만4000명(2.0%) 줄었다. 6월 말 기준 1인당 대출액은 1711만원으로 지난해 말 수준을 유지했다.
금감원은 서민금융 우수대부업자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저신용자 신용공급 노력이 지속되도록 유도하고, 저신용자 신용공급 현황과 연체율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불법사금융 근절 및 대부업 신뢰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이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대부업법 개정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실시하고 추가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대부업자 등록요건 강화, 온라인 대부중개사이트 규제 강화 등 불법사금융 피해자의 신속한 회복을 위해 불법 대부계약 무효화 소송 지원, 채무자대리인 제도 등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