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시멘트업계 올해 최대 화두중 하나인 질소산화물(NOx) 배출규제 기준의 결정이 지연, 해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서다. 때문에 내년 경영계획 수립에도 차질빚고 있다.
30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 업계는 고효율 질소산화물 저감시설의 기술 검증이 완료될 때까지 규제 수치 강화 유예안을 정부에 수 차례 요청했지만 정부는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
정부는 충북지역 시멘트업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2025년 135ppm에서 2029년 110ppm까지 단계적으로 줄여 나가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의 입법예고 했다.
시멘트업계는 정부 입법예고의 근간이 되는 고효율의 질소산화물 저감시설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다만, 충분한 검증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오히려 운용 과정에 추가로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등 공정 안정성과 저감 효율의 불확실성으로 현장에 즉각적인 적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실제 앞서 고효율의 질소산화물 저감시설(SCR)시스템을 적극 도입한 독일에선 먼지 축적과 촉매 성능 저하, 배출가스 온도 조절 문제, 설치 공간 및 설계 문제, 경제적 부담,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이유로 재배치 또는 재설치 한 바 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정부 규제치 110ppm은 독일에서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SCR설비를 통해 거둘 수 있는 최적의 효율성을 기준으로 달성 가능한 이상적인 목표 수준이라는데 있다”며 “이 규제치가 그대로 확정될 경우 시멘트 생산마저 일부 중단해야 할 정도로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워 했다.
이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극심한 시멘트 판매 감소와 최근에는 탄핵정국으로 촉발된 환율급등으로 시멘트 제조원가 부담까지 커지고 있다'며 "내년 시멘트산업에 긍정적인 요인은 단 하나도 찾아볼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라고 강조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