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2기 美中갈등·관세 등 우려
日주요기업 40% "사업전략 변경"
태국 등 동남아로 생산 거점 이전
한국기업도 中시장 철수 등 움직임
"규제 완화 기대할만" 긍정 요소도
日주요기업 40% "사업전략 변경"
태국 등 동남아로 생산 거점 이전
한국기업도 中시장 철수 등 움직임
"규제 완화 기대할만" 긍정 요소도
■중국에 있다가 철퇴 맞을라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의 '사장 100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본 주요 기업 중 40%가 중국 내 사업 전략을 재검토 중이거나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는 미중 갈등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가능성이 일본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인식한 결과다.
내년 1월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11월에 중국에 대해 추가 관세 10%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선거 기간 동안에는 최대 60%까지 인상할 계획을 언급하기도 했다. 관세 인상으로 미중 간 무역 전쟁이 재발할 경우 제품이나 중간재·원료 등의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일본 기업들은 생산 거점을 동남아시아로 이전하거나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공급망을 재구축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무기기 업체인 '리코'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사무기기 생산을 중국에서 태국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닛케이는 "공급망 재구축은 막대한 비용과 인력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재검토 필요성을 느끼는 경영자들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일본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규제 강화와 비용 상승이다. 제조 비용 증가, 환경 규제 심화, 중국 정부의 기술 이전 요구는 기업들의 경영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여기에 미중 간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일본 기업들은 중국 내 사업 축소나 철수를 진지하게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한국 기업들도 유사한 흐름 속에서 중국 사업을 재검토하는 곳이 늘고 있다. 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56.2%가 공장 가동률이 60% 이하로 떨어졌으며 24.6%는 향후 5년 내 사업 축소를 계획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규제와 생산비용 상승은 한국 기업들에게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기업은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세폭탄 무섭지만 규제완화 기대
아울러 닛케이 설문조사에서 트럼프 당선인 취임이 자사 경영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부정적' 또는 '약간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38.9%로, 트럼프 1기 정권 취임 직전(2016년 12월 37.0%)을 상회했다.
차기 정권에 대한 우려 사항으로는 '수입품 관세 강화'(68.3%)가 가장 높았고,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43.4%), '인플레이션 재점화'(36.6%)가 뒤를 이었다.
트럼프 당선인에게 기대하는 것으로는 규제 완화가 40.0%로 가장 많았다. 일본 3대 편의점 중 한 곳인 '로손'의 다케마스 사다노부 사장은 "(규제 완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세계의 기술 기업들이 미국에서 상업적 기회를 찾기 위해 '트럼프 알현'을 하고 있다"면서 "일본 기업 경영자들도 트럼프의 언행을 주시하며 유연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m@fnnews.com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