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국지역정보개발원, 'AI 공공행정 포럼' 개최...AI혁신으로 여는 공공행정의 미래

장충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20 15:00

수정 2025.01.20 17:15

독일 나우만재단과 공동 개최, 한국과 유럽 사례 공유
한국지역개발연구원이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과 함께 20일 'AI공공행정 포럼'을 개최했다. 개발원 제공
한국지역개발연구원이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과 함께 20일 'AI공공행정 포럼'을 개최했다. 개발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독일의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과 함게 'AI 공공행정 포럼'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 공공행정 : 한국과 유럽'이라는 주제로, 한국과 유럽의 AI 공공행정 사례를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슈테판 슈노어(Stefan Schnorr) 독일 연방 디지털교통부 차관을 비롯해 공공분야와 학계 및 민간 전문가 약 4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프레드릭 스포어(Fredric Sphor) 나우만재단 한국대표의 개회사와 김석진 개발원 부원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김석진 부원장은 "AI는 공공부문 혁신의 핵심 도구로, 행정 효율화와 스마트한 업무 처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개인정보 보호와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AI를 도입해 신뢰받는 공공 서비스를 만들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조연설에서 슈테판 슈노어 독일 연방 디지털교통부 차관은 유럽에서 AI를 공공행정에 도입한 성공 사례와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경제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개발원 조미자 디지털재정본부장의 '한국의 공공행정 혁신성과와 통합지방재정관리시스템의 최종 목표'라는 제목으로 발표도 이어졌다.

조 본부장은 AI 활용을 통해 지방재정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정수급 모니터링과 보안 관제를 강화한 성공 사례들을 제시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강조했다.

마지막 토론에서는 최재식 카이스트 교수의 진행으로, 정주환 네이버클라우드 이사와 레이너 웨슬리(Rainer Wessely) 주한 유럽연합대표부 참사관이 참여해 공공부문 AI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기술 도입의 윤리적·사회적 검토 필요성을 제기하며,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한편, 개발원과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은 매년 디지털을 주제로 분기별 온라인 세미나를 공동 개최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국내외 디지털 전문가를 초빙해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20일 열린 'AI공공행정 포럼'에서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김석진 부원장(오른쪽부터 5번째)과 독일 연방 디지털교통부 슈테판 슈노어 차관을 비롯한 주요내빈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개발원 제공
20일 열린 'AI공공행정 포럼'에서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김석진 부원장(오른쪽부터 5번째)과 독일 연방 디지털교통부 슈테판 슈노어 차관을 비롯한 주요내빈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개발원 제공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