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익 전년 대비 23% 증가
향상된 이익창출력+비용 효율화
자사주 매입·소각 1500억원
결산배당금 주당 660원

|
|
[파이낸셜뉴스]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당기순이익 3조860억원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대비 23.1% 증가한 순익이다. 우리금융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여건 속에서도 향상된 이익 창출력과 적극적인 비용 관리를 통해 달성한 역대 두 번째 수준의 호실적이라고 자평했다.
7일 우리금융그룹이 공시한 실적자료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의 지난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3%로 집계됐다. 그룹의 ROE가 전년 대비 1.0%p 개선된 것인데 그만큼 효율적으로 자본을 활용했다는 의미다.
우리금융그룹의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08%로 집계됐다. 트럼프 리스크와 계엄·탄핵 악재 속 4·4분기 원·달러 환율이 150원 가량 오르면서 보통주자본비율은 약 40bp 감소했다. 우리금융은 "전사적인 위험가중자산 관리 노력에 힘입어 지난 분기와 비교할 때는 오히려 13bp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CET1은 금융사의 위기대응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동양·ABL생명보험 인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우리금융 입장에서는 CET1이 당국의 권고 기준을 넘겼다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금융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CET1은 11.96%였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유일하게 당국 권고치인 12%를 밑돌았다. CET1 현황은 경영실태평가에 반영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우리금융의 '매운맛' 검사결과를 발표하면서 경영실태평가 등급 공개를 미룬 상황에서 권고치를 지켰다는 의미가 있다.
지난해 우리금융 전체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6% 증가하며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기업 금융을 통해 '이자 장사'를 이어온 결과다. 우리금융은 중소기업 특화점포 신설,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 중점 지원 등을 통해 기업대출 부문을 9.0% 증가시켰다. 견
비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41.9% 급증했다. 역대 2번째 호실적을 달성하는데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이 역할을 한 것이다. 특히 은행의 자산관리 부문과 IB부문에서 수수료 수익이 급증했다. 비은행부문의 다각적인 영업 확대에 힘입어 수수료 이익은 지난해 대비 21.3% 증가했다. 이는 순영업수익의 약 20% 수준이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42.8%로 집계됐다. 증권사 출범 및 디지털·IT 투자 확대 등 비용이 증가했지만, 꾸준한 비용효율화를 꾀한 결과 전년 대비 0.7%p 감소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였다.
그룹 대손비용은 연간 1조7163억원으로 나타났다. 4·4분기에도 비은행 자회사 PF 대출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비한 위험관리역량을 강화했다.
우리금융그룹의 자산건전성을 드러내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57%로 집계돼 전년 대비 0.20%p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NPL커버리지비율은 그룹 153.0%, 은행 247.4%로 업계 최고 수준의 리스크관리 능력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은 이같은 실적을 바탕으로 이사회를 열고 주당 660원의 결산 배당을 결의했다. 이로써 지난해 연간 배당금은 주당 1200원에 달해 역대 최대다. 우리금융은 또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을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1500억원으로 발표했다. 역대급 현금 배당과 주주친화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2024년은 연간 순이익 3조원 달성 뿐 아니라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 및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ESG 평가등급 획득 등으로 그룹의 성장 잠재력과 기업가치를 시장에서 인정받은 한 해였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금융은 MSCI지수 2년 연속 AAA등급, DJSI지수 World 등급, 블룸버그 Leading 등급을 획득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올해를 자본비율 개선 원년으로 삼아 '자산리밸런싱을 통한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축'과 '소상공인 지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상생금융 확대' 그리고 '내부통제 고도화' 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강화하고 종합금융그룹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한 해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