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95% 휴학… 복귀신청 미미
감원 논의 난항… 정부 "이달 협의"
예비 고3, 입시전형 변할까 '불안'
감원 논의 난항… 정부 "이달 협의"
예비 고3, 입시전형 변할까 '불안'

정부가 정한 의대정원 협의 데드라인이 한 달여 남은 가운데 의대생들의 휴학은 계속되고 있다. 의대생 95%가 강의실을 비운 상황이며, 대부분 의대는 재학생의 개강일을 한 달 미뤘다.
의료계는 기존 정원(3058명) 복귀는 물론 감원까지 요구하고 나섰지만, 내년 입시를 앞둔 예비 고3과 학부모 측에선 증원 유지 주장이 나오고 있다.
9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32곳이 올해 신학기 개강일을 3월로 미뤘다. 의대 재학생은 일반 대학보다 한 달 빠르게 학기를 시작해왔으나 올해는 정상 개강이 어려워졌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9일 기준 의대 재적생의 95%가 휴학 중이다. 특히 군 휴학을 선택한 인원은 1419명으로, 지난해 9월(1059명)보다 34% 늘었다. 현역병 입대 학생들은 협의가 이뤄지더라도 즉각 학교 복귀가 불가능하다. 의정갈등이 길어지며 공백이 커졌다.
의료계는 증원 백지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기존 정원 3058명보다 적은 수준의 정원과 함께 2026학년도 신입생 모집 중단을 주장한다. 2025학년도에 복귀하는 24학번과 신입생 25학번의 '더블링' 문제를 해결한 뒤 모집을 재개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정부는 의대생 복귀 시 7500여명에 달하는 1학년 교육을 계절학기 등으로 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계는 실습 등 과밀화 문제가 우려되는 의대 교육 특성상 정상적 교육이 어렵다고 맞서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제시한 '의대 5년제'가 아닌 '의대 7년제' 운영으로 1년간 교육을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달 중 2026년 의대정원이 정해지면 종합적인 의대 교육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휴학생 복귀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제로베이스' 논의를 언급하며 감원 가능성도 열어뒀다. 매년 2000명을 늘리는 증원계획을 철회하고 3058명보다 적은 규모의 협의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의료계 주장에는 미치지 못하나 기존 증원 고수에서 한발 물러선 모습이다.
당장의 의료공백 해소를 위한 조치이지만 곧 입시를 치를 예비 고3들은 1년 만에 전형요강의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됐다. 정부는 "학사 일정 등을 고려하면 2월 중 협의를 마치고 4월에 입시요강을 발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00여명에 달하는 최상위권 판세가 1학기 말에야 정해지는 셈이다.
의대정원이 1500여명 늘어난 올해 입시에선 KAIST 등 과학기술원 지원이 줄어드는 등 전년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내년 정원이 감원으로 바뀔 경우 예비 고3들은 또다시 전년도를 참고할 수 없는 입시환경을 맞을 수 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