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한달 째 보수 1위 김문수…설마 대세론? 여권 잠룡들 '긴장'

뉴스1

입력 2025.02.12 06:01

수정 2025.02.12 08:27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1일 오후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희망별숲'을 방문, 간담회를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2025.2.11/뉴스1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1일 오후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희망별숲'을 방문, 간담회를 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제공) 2025.2.11/뉴스1


(서울=뉴스1) 서상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로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여권 내에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탄핵 정국에서 강성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김 장관의 지지도 역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모습인데, 잠룡들 사이에서도 "일시적 현상은 아니다"라는 긴장감이 흐른다.

12일 여권에 따르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8일 쿠키뉴스와 한길리서치의 '범여권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 15.6%의 지지율로 1위를 기록한 이후 한 달 넘게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난 10일 발표된 에너지경제신문·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도 김문수 장관은 범여권 후보 중 25.1%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11.1%), 오세훈 서울시장(10.3%), 홍준표 대구시장(7.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7.4%),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5.1%),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4.0%) 순이었다.



한 달 전만 해도 김문수 장관의 독주 현상을 두고 탄핵 정국에서의 '반짝 효과'라는 평가가 많았다. 보수 강성 지지층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에 '분개'하면서 그간 윤석열 정부를 방어해 온 김문수 장관 측에 지지세가 잠깐 몰렸다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탄핵 정국 장기화로 김 장관의 독주 체제가 이어지면서 여권 내에서도 "어느 정도 지지세가 굳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모 국민의힘 관계자는 "조기대선을 가정했을 때 현재로서는 의미가 큰 지표"라며 "당분간은 이같은 대치 국면에서 큰 변동이 없을 테니, 김 장관의 지지율도 유지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문수 장관의 독주 배경에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밀착 관계가 자리한다. 김 장관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경제사회노동위원장,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며 윤 대통령 곁을 떠나지 않았다. 노란봉투법 등 야당이 추진하는 법안에 대해서도 윤석열 정부의 기조에 맞추어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 이후 열린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다른 국무위원들과 다르게 야당을 향해 고개를 숙이지 않은 점도 보수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김 장관은 대선 출마에 대해 "생각한 적이 없다" "대통령과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다만 최근 정치적 발언이 늘어가고 있어 탄핵 인용 시 출마는 기정사실이라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인 관측이다.

김문수 장관과 소통하고 있는 한 여권 관계자는 "보수 지지자들이 김문수 장관을 소신이 있고 법과 원칙에 충실하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국민들이 부르면 나올 것"이라고 했다.

예상치 못한 주자가 등장하면서 여권 잠룡들도 셈법이 복잡해졌다. 현행 국민의힘 대선 경선 룰은 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인데 강성 지지층이 김문수 장관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김 장관의 지지세가 커질수록 1차 경선의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여권 관계자는 "지금 여론조사에 응답하는 이들은 전당대회 때 투표할 가능성이 높은 적극적 투표층"이라며 "조기대선이 '체제' 경쟁이 될 경우 김 장관의 지지세는 더 커질 수도 있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역선택 방지조항까지 들어간다면, 국민여론조사 결과 역시 김 장관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지 않겠나"라고 했다.

그러나 김 장관의 확장성에 의문을 갖는 목소리도 많다.
대선 정국이 본격적으로 열리면 빠르게 지지율이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아직까지 김 장관에게는 과거 '아스팔트 보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중도층이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김 장관의 한계가 나타나면서 지지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