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정윤영 손승환 구진욱 기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향후 북한과 대화·협상을 진행되는 과정에서 '코리아 패싱' 현상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12일 국회 본회의 정치·외교·통일·안보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북한과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미일 3각 공조체계를 활용하겠다고 미일 정상이 천명한 상황임에도 코리아 패싱을 지레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김건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조 장관은 "지금 한국의 권한대행 체제의 불안 요소가 없지는 않지만 한미동맹과 소통에는 문제가 없다"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이틀 만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통화를 했고, 북한의 비핵화 문제 또 한미일 밀착의 굳건함과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한 바 있다"라고 했다.
이어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도 이같은 방침이 재확인됐기 때문에 한미관계는 대행 체제 하에서도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다고 굳건히 믿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공동성명에 북한 문제가 한미일 협력 문제와 함께 거론된 것은 우리 정부가 사전에 미국과 일본을 상대로 외교적 작업을 한 결과도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청구서가 한꺼번에 날아 올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해 정부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가'라는 김 의원에 질의에는 "대행 체제가 갖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시간을 번다는 면에서는 저희에게 기회 요인도 있다"라며 "우리에게 주어진 유예 기간을 잘 활용해야 된다는 인식 속에 철저히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특히 조 장관은 "경제·통상 문제도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간담회 등을 통해 논의하고 있어 전반적인 대비태세에 큰 문제가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한국과 미래에 협력할 산업으로 거론한 것이 조선업"이라며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전략적이고 안보적인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업이 유지·보수·정비(MRO) 분야에서 한미동맹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