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 재개발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관리 필요"
대구 빈집 1년새 1만호 늘어…정비사업 주춤, 장기 방치된 곳도인구감소, 재개발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관리 필요"

(대구=연합뉴스) 박세진 기자 = 13일 오후 대구 남구 봉덕동 한 재개발구역.
좁은 골목길로 발걸음을 옮기자 노후 주택들이 곳곳에서 눈에 들어왔다.
재개발 조합원들이 이주하며 남기고 간 빈집이 장기간 철거되지 않고 방치된 것이다.
주민 김모(80대·여) 씨는 "이 주변에 사람이 안 산지는 한참 됐다"며 "이쪽으로는 경로당에 갈 때만 다니고 밤에는 무서워서 다니지 않는다"고 말했다.
빈집 외벽에 범죄 예방을 홍보하는 남부경찰서의 현수막이 걸렸지만, 빛이 바래 문구를 알아보기 힘들었다.
주택 철문은 파손되거나 녹슬었고 패널로 막힌 공간 안으로는 방치된 생활 쓰레기가 쌓여있었다.

중구 남산동 한 가로주택정비사업 구역도 상황은 비슷했다.
좁은 골목길, 철거를 앞둔 빈집, 생활 쓰레기 등 사실상 구역 전체가 방치돼 있었다.
주민 A씨는 "미관상 좋지 않으니 빨리 빈집을 철거하든 주변 정리를 하든 조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대구의 빈집은 2023년 5만6천673호로 대구 전체 주택 87만6천286호의 6.5%를 차지한다.
2021년 3만6천121호(전체의 4.4%), 2022년 4만3천86호(전체의 5.2%) 등 매년 증가 추세다.

빈집은 재개발, 재건축, 인구감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늘어나고 있다.
대구의 경우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도시정비사업이 주춤하면서 빈집이 무기한 방치되는 일이 잦다.
행정 당국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 구청 관계자는 "사업 인가 이후에는 사업 터 관리는 사업자 측에서 한다"면서도 "치안 민원이 들어오면 관할 경찰서에 협조 요청을 보내고 쓰레기 정리 등 생활 민원은 각 담당 부서에서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psjps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