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정조 조성 '만년제' 복원된다…화성시, 2028년 '완공' 목표

뉴시스

입력 2025.02.14 14:02

수정 2025.02.14 14:02

인근에 역사공원도 조성
[화성=뉴시스]화성시 관계자들이 2012년 6월7일 만년제 발굴조사에서 만년제 괴성(저수지 한 가운데 조성된 인공섬)의 위치 및 저수지 규모 등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화성=뉴시스]화성시 관계자들이 2012년 6월7일 만년제 발굴조사에서 만년제 괴성(저수지 한 가운데 조성된 인공섬)의 위치 및 저수지 규모 등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화성=뉴시스] 문영호 기자 = 경기 화성시가 조선시대 정조의 권농정책을 보여주는 문화사적 '만년제(萬年堤)'를 복원한다.

14일 화성시에 따르면 시는 2028년까지 만년제를 복원하고 주변에 홍보관과 바닥분수, 휴게쉼터 등을 포함한 역사공원을 조성한다.

올해 괴성(魁星·만년제 중앙에 있었던 인공섬) 복원공사와 역사공원 조성을 위한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내년엔 제방설계와 토지보상절차를 진행한다.

2027년 본격적인 조성 공사를 시작해 2028년 시민들이 만년제를 관람하며 공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만년제는 조선 정조 21년(1797년)에 만든 제방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를 양주 배봉산(현재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에서 현륭원으로 옮기면서 현 화성시를 포함한 수원시 일원을 화성이란 이름의 새 도시로 만들었다. 도시의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둔전(궁과 관아에 딸린 밭)을 설치하고 농사를 위한 제방을 쌓았다. 만년제는 이 때 설치된 저수시설이다. 수원시 소재 서둔(西屯), 서호(西湖)와 함께 정조의 권농정책을 보여주는 중요 사적이다.

만년제는 이 같은 역사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자칫 민간에 매각돼 사라질 위기를 맞기도 했다. 현 문화재청의 전신인 문화재관리국이 1964년 2월 문화적 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만년제를 민간에 불하했다.

수십년 후 한 지역 주민이 만년제를 경기도기념물로 지정해 달라는 진정서를 제출, 경기도는 1992년부터 7차례에 걸쳐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진행 1996년에 경기도기념물로 지정했다.

만년제 토지 소유자는 반발해 2000년 화성시에 경기도기념물 지정 해제를 요구했고 시도 만년제가 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경기도에 제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만년제의 농업적 가치를 인정해 보존을 결정했다.

경기도기념물 지정 이후에도 복원까지는 긴 시간이 걸렸다. 1996년 경기도기념물 지정 이후 2년만인 1998년 시추공 조사가 진행됐지만 예산과 토지매입 등의 문제로 이듬해부터 2006년까지 복원과 관련된 사업은 멈췄다. 2007년 다시 시작된 발굴작업은 2022년 6차 발굴조사까지 15년이 걸렸다.

2022년 11월 화성시는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만년제 복원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11월 만년제 주변에 대한 '공원조성계획 결정 입안'을 공람·공고한 데 이어 올해 예산에 만년제 복원과 공원조성에 필요한 실시설계용역 예산을 편성했다.

시는 만년제 인근 태안3지구 개발 등으로 지역 주민들의 문화·여가 공간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만년제를 활용한 문화공간 조성이 시의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만년제는 단순한 저수지가 아닌 정조대왕의 애민정신이 깃든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만년제의 역사적 가치를 되살리고 시민들이 즐겨 찾는 문화휴식공간이 되도록 복원사업을 꼼꼼하게 살피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ano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