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국회 탄핵소추위원단 소추위원인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3월 초쯤 내려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굳이 9인 체제가 아니라도 좋다고 말했다.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놓고 기 싸움이 펼쳐지는 것도 그렇고 마 후보가 재판관이 될 경우 대통령 측이 탄핵심리 전반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며 헌재 결정을 늦출 가능성이 있기에 8인 체제에서 결정해도 무방하다는 것으로 탄핵 인용을 자신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건 명태균 게이트, 즉 김건희 여사와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1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탄핵 심판 종결 시점에 대해 "20일 증인신문을 끝으로 변론이 종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 같은 경우에는 변론 종결 14일 후, 박근혜 전 대통령은 11일 후에 선고가 났다"라는 말로 3월 7일 전후로 선고날짜가 잡힐 것으로 판단했다.
진행자가 "마은혁 후보자를 임명하면 헌재의 탄핵 선고 기일이 늦춰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하자 박 의원은 "마은혁 재판관을 임명해도 선고 절차가 늦어질 것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피청구인(대통령) 측에서 변론 갱신을 처음부터 다시 하자고 주장할 수 있다"며 "헌법재판소 입장에서는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기에 8인 체제로도 선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소추를 인용하려면 재판관 3분의 2 이상, 즉 재판관 6명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이는 헌재가 탄핵심리와 선고 절차를 진행하려면 최소 6명 이상 재판관이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현재 헌법재판소는 정원보다 1명 부족한 재판관 8명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박 의원은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로 개인적인 가정사에 대해 언급했다'고 수사기관에서 말한 것에 대해선 "김봉식 청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초임 검사 시절, 대구지검 특수부장, 대구고검 등 대구에서 근무할 때 굉장히 끈끈한 인연이 있어 개인적인 부분을 서로 털어놓고 하던 관계로 보인다"며 "윤석열 대통령 측 개인적인 가정사는 김건희 여사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태용 국정원장도 계엄 전날과 당일 김 여사와 문자를 주고받았다고 했다"며 "김건희 씨가 내란과 관련된 역할 등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