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철도·지하철노조 "궤도노동자 일곱명도 기억…안전인력 확충해야"

뉴스1

입력 2025.02.17 15:59

수정 2025.02.17 15:59

대구지하철참사 22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궤도노동자 추모집회가 열리고 있다. 2025.2.1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대구지하철참사 22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궤도노동자 추모집회가 열리고 있다. 2025.2.1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대구지하철참사 22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기억공간을 찾은 유가족들이 희생자를 추모하는 메시지를 붙이고 있다. 2025.2.1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대구지하철참사 22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기억공간을 찾은 유가족들이 희생자를 추모하는 메시지를 붙이고 있다. 2025.2.1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대구=뉴스1) 남승렬 기자 = "일곱 분의 궤도노동자도 기억해 주세요."

340여명의 사상자(사망 192명·부상 151명)가 발생한 '2‧18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희생자에 포함된 궤도노동자 7명을 추모하는 행사가 대구에서 열렸다.

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궤도협의회)와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등은 참사 22주기 전날인 17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기억공간'에서 궤도노동자 추모대회를 열고 고인들을 추모했다.

추모대회에는 서울교통공사 노조 등 전국 궤도노동자와 지하철 사고로 107명이 숨진 일본의 JR서일본노동조합, 대구지하철참사희생자대책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성일 대구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은 "시민의 안전, 열차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현장의 안전 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2003년 2월18일 이전에는 없었다"며 역사 내 안전인력 확충을 촉구했다.

그는 "2003년 2월18일 오전 9시53분 중앙로역에서 희생된 시민들은 단지 지하철을 이용한 승객만이 아니었다"며 "당시 이곳에서 일한 대구지하철 노동자 7명이 함께 희생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노동자라면 가장 안전해야 될 일터가 죽음으로 몰고 갔다"며 "현장에 안전인력이 있어야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궤도협의회는 참사 당일인 18일 팔공산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서 열리는 '2‧18대구지하철참사 22주기 추모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는 2003년 2월18일 오전 9시53분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에 정차한 전동차에서 한 지적장애인이 휘발유에 불을 질러 마주 오던 전동차로 번지면서 192명이 숨지고, 151명이 다친 사고다.


참사 희생자 192명 중에는 대구지하철 차량본부와 기술본부 등에 소속된 노동자와 지하철 청소 노동자 등 7명도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