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與 "707단장, 회유의혹 중요 증인"…野, 국방위 일방소집에 퇴장

연합뉴스

입력 2025.02.17 17:19

수정 2025.02.17 17:19

국민의힘 "야당이 국조특위서 증인 채택 막아" 민주 "여당의 회유 공간될 뿐"
與 "707단장, 회유의혹 중요 증인"…野, 국방위 일방소집에 퇴장
국민의힘 "야당이 국조특위서 증인 채택 막아" 민주 "여당의 회유 공간될 뿐"

퇴장하는 부승찬 의원 (출처=연합뉴스)
퇴장하는 부승찬 의원 (출처=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여야는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2·3 비상계엄에 동원된 군 지휘관들에 대한 야당의 회유 의혹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이날 회의는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직권으로 소집했다.

성 위원장은 참고인으로 출석한 김현태 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에 대해 "탄핵 공작을 위한 (야당의) 회유가 있었는지, 대통령의 단전 지시가 있었는지와 관련한 중요한 증인"이라며 야당이 다수인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서 김 단장을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았다고 상임위 소집 배경을 설명했다.

국조특위 여당 간사인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은 "특위에서 김 단장을 증인으로 회의에 참석하게 해달라고 통사정해도 안 해줬다"며 "국방위에서 김 단장을 부른 것을 야당 의원이 탓할 수 있겠나"라고 성토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여야 합의 없이 국방위 회의가 열린 것에 대해 반발했다.



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지금 김 단장이 진술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게 있느냐"며 "어찌 됐든 지하 1층에서 계엄군이 국회 단전 차단기를 내린 건 사실 아닌가"라고 했다.

또 부 의원은 야당의 '회유 의혹'을 부인하며 오히려 김 단장에 대한 여당의 회유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6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 단장이 지난해 12월 9일 기자회견에서와 달리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지 않았다는 취지의 답변을 한 것을 보면 오히려 그 과정에서 여당의 회유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같은 당 허영 의원도 "야당이 회의장을 떠나면 여당 의원들만 질의를 할 텐데, 그것(진실)이 가려지겠나. 또 다른 회유의 공간이 될 뿐"이라며 "도저히 이 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야당 의원 중 회의에 참석했던 부 의원과 허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 후 퇴장했고, 김 단장을 상대로 한 현안 질의는 여당 의원들에 의해서만 진행됐다.

chaew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