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硏, 대미수출 전망 보고서
인상률 예측해보니 전기제품 1위
철강 등 주요 품목 모니터링부터
美 바이어 네트워크 강화 등 제시
지난해 부산의 대미국 수출은 27억 달러(한화 3조 8919여억원)를 기록하며 9년 만에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 정부의 초강경 무역 정책으로 인해 다시 수출 침체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인상률 예측해보니 전기제품 1위
철강 등 주요 품목 모니터링부터
美 바이어 네트워크 강화 등 제시
부산연구원(BDI)은 '對(대)미국 수출기업의 통상영향과 출구전략'이라는 보고서를 17일 발간하고 이 같은 전망과 함께 핵심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이 관세전쟁을 촉발한 주요 배경으로는 자국 제조업의 쇠퇴와 일자리 감소, 대중국 무역적자에 대한 만회 등이 지목됐다. 또 미 정부의 대외협상용 수단으로서의 무역 이슈 활용 및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했다는 점도 이유로 꼽혔다.
연구원 조사 결과, 업종별 예상 관세 인상률은 전기·전자제품이 1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철강·비철금속제품(12.1%), 농수산물·가공식품(11.7%) 등의 순으로 높은 관세 인상이 예상됐다.
이 같은 미 정부의 관세 압박에 대해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는 심각한 규칙 위반"이라 제소하는 등 정면 대응을 선택했다.
또 일본은 US 스틸을 인수하는 대신 미국에 대규모 투자로 미국 내 생산거점을 확보하는 전략을, 대만은 중국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과 우호적 무역협정을 조기 체결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세계 무역 흐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보고서는 △'부산 국제통상 위클리(가칭)' 발행 △수출길 막힌 중국제품의 공습에 대비 △미 제조업 부흥 겨냥한 부산의 중간·산업재 수출 마케팅 강화 △부산시 '통상진흥과(가칭)' 신설, 대내외 경제적 유대관계 강화 △정책지원금 확대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 등 5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국제통상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인 관계로 관련 주간지를 발행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통상 이슈와 정책 정보를 기업에 지속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또 수출 압박을 받는 중국의 한국시장 공략 가속화에 대비해 철강, 가전제품 등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제조업 부흥 흐름에 직접 올라타는 방안으로, 부산과 미주 바이어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부산기업의 미국 및 신시장 개척 등도 주요 대응 방안의 하나로 떠올랐다. 이 밖에도 시의 통상 출구전략 수립 등을 전문적으로 맡을 통상진흥과 신설과 함께 지역 수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물류비 지원 등 각종 지원책도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