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선정…총 26억 투입
서울 자율주행 새벽 첫 차 1대에서 4대로 증차
하동군은 짐칸 갖춘 '농촌형 자율주행버스' 도입
![[서울=뉴시스] 국토부는 '2025년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 공모 결과 서울, 세종, 경기 판교·안양, 충남 천안, 경북 경주, 경남 하동, 제주를 선정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서울 심야버스, 하동 농촌버스, 제주 제주시-서귀포시 자율주행버스, 경주 APEC 셔틀. 2025.02.18. (사진=국토부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18/202502181102055896_l.jpg)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서울, 세종, 경주 등 7개 지자체가 국토교통부 지원을 받아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게 됐다.
국토부는 '2025년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 공모 결과 서울, 세종, 경기 판교·안양, 충남 천안, 경북 경주, 경남 하동, 제주를 선정, 총 26억원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시는 심야·새벽시간대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 운영한다. 강남의 심야시간 택시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스스로 경로를 찾아가는 난이도 높은 실증을 촉진하기 위해 운행구역을 기존의 역삼·대치·도곡·삼성, 서초 일부에서 강남 전역으로 확대한다. 배차도 3대에서 7대로 늘린다.
이른 새벽에 출근하는 사람들을 위한 첫 차 버스는 기존에 도봉~영등포 160번이 유일했으나 은평~양재 741번, 금천~세종로 504번, 상계~고속터미널 148번 등 운행노선을 추가하고 1대에서 4대로 증차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판교에서 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 이동편의를 위한 노선버스, 안양은 주간 및 심야 노선버스를 운영한다. 세종시는 주요 거점을 잇는 광역 자율주행버스(BRT정거장)와 주거단지를 연계하는 '자율주행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남도는 고령층 비율이 높고 대중교통 여건이 열악한 하동군 농촌 지역에 노선버스를 운영한다. 주민들이 병원, 시장, 복지회관 등을 방문하려면 긴 거리를 걸어서 다니거나 짐이 있으면 택시를 타야 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해 짐칸을 갖춘 농촌형 자율주행버스를 도입한다.
경북 경주시는 올해 개최하는 APEC 정상회의에서 회의장~숙소를 이동하는 자율주행셔틀을 운영한다. 제주도는 제주시~서귀포시를 연결하는 노선버스를 통해 관광객의 지역 간 접근성을 개선한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자율주행은 이미 우리 일상 속 이동수단으로 활약하고 있지만 국민 체감도는 아직 낮다"며 "서비스 지원사업으로 자율주행 신기술·서비스의 도전적 실증을 통한 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국민의 이동편의를 제고해 자율주행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