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유럽 최대 경제국이자 주요 수출국인 독일이 미국의 관세에 특히 취약하다는 독일 중앙은행 분데스방크의 진단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는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현실화할 경우, 2027년 독일 국내총생산(GDP)이 1.5%포인트(P)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60%, 유럽연합(EU) 등 다른 교역 상대국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각국이 보복 관세로 대응한다는 가정 하의 전망치다.
이미 2년 연속 경제 역성장으로 몸살을 앓는 독일은 에너지값 상승과 중국 상품의 판매 급증으로 산업 불황을 겪고 있다.
나겔 총재는 "우리의 강한 수출 지향성은 (독일을) 관세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면서 올해 독일 경제가 0.2%, 내년에는 0.8% 성장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분데스방크는 독일이 관세로 고통을 받겠지만 미국 또한 무역 장벽으로 얻을 이익을 상쇄할 만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나겔은 "미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관세 정책의 결과는 부정적일 것"이라며 "구매력 손실과 중간재 비용 증가는 미국 산업의 경쟁 우위보다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파비오 파네타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 또한 미국의 관세가 발효되고 각국의 보복 조처가 잇따른다면 미국 GDP 성장률이 2%포인트(P) 위축되고 세계 GDP 성장률 또한 1.5%P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파네타는 중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철수한 뒤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면서 유럽 기업들을 압박할 가능성이 큰 위험이라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