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는 전날 보고서에서 "미국의 자동차·반도체 관세와 상호 관세 부과는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 부품, 의약품, 반도체 등에 25%의 관세를 물릴 경우 국내총생산(GDP) 0.203% 감소가 예상됐다.
한국산 제품에 10.79%의 상호 관세를 매기면 GDP는 0.206%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부과한 중국에 대한 관세와 앞서 부과를 한 달 연기한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한국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씨티는 캐나다, 멕시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10~25% 관세가 한국 GDP를 0.042% 후퇴시킬 것이라고 추산했다.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도 GDP 0.019% 감소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수정 경제 전망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미국의 관세 정책을 중요하게 다룰 것으로 관측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긴급 현안 질의에 출석해 "지난달 올해 성장률을 1.6~1.7%로 가정한 것과 관련해 다시 보고 있다"며 "여기에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 외 미국의 여러 경제 정책이라든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정책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전망 당시 한은은 올해 성장률을 1.9%로 봤으나, 지난달에는 비상계엄 여파 등에 1.6~1.7%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예고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