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대량살상무기 외 재래식 무기에도 핵 대응 명시
무력 공격 연합국 침략으로 간주…공동 보복 조치
![[모스크바=AP/뉴시스] 러시아 국가두마(하원) (사진=뉴시스DB)](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18/202502181527446437_l.jpg)
러시아 국가두마(하원)는 웹사이트에 게시한 보도자료에서 "18일 본회의에서 '러시아-벨라루스 연합국(Union State) 내 안보 보장에 관한 조약' 비준을 검토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유니언 스테이트'는 러시아와 벨라루스로 구성된 초국가적 연합이다. 원래 연방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현재 각자 독립 국가를 유지하고 있다. 지금은 경제 통합, 과세, 국방 및 정보 기관 통합에 집중하고 있다.
러시아 하원은 "오늘날 도전 속에서 공동 방위 공간의 틀 내에서 안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의 목표는 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위협과 도발로부터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민과 영토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6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연합국최고위원회를 개최하고 안보 조약을 체결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달 5일 하원에 조약 비준안을 제출했다.
![[민스크=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열린 연합국가 수립 조약 25주년 기념 러시아-벨라루스 연합국최고위원회 회의 후 안보 조약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2024.11.07.](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2/18/202502181527505491_l.jpg)
조약은 "러시아 핵무기는 러시아나 벨라루스에 대한 핵무기나 기타 대량 살상 무기 사용에 대응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한쪽이 재래식 무기로 공격을 받을 때에도 주권 및 영토 보전에 중대한 위협이 초래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아울러 "양 당사국은 연합국 회원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연합국 전체에 대한 침략으로 간주하고 모든 힘과 수단을 사용해 적절한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특히 한 국가에 대한 공격이 발생한 경우 다른 국가는 공식 요청과 대통령 간 협의를 거쳐 필요한 군사와 군사 기술, 기타 지원을 즉시 제공해야 한다"고 적시하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발효된 핵독트린(핵교리)에서 벨라루스까지 핵우산을 확장한 바 있다. 벨라루스가 침략 받아 주권이나 영토 보전에 중대한 위협이 발생한 경우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