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5개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이 산업계의 활력 회복을 위해 오는 4월까지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한다. 예년보다 13조원 늘어난 규모이자 연초 정부 발표보다 3조원 추가 확대된 수준이다.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의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에 달성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정책금융기관 조기집행 점검회의를 개최해 이같이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5개 정책금융기관과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금융위가 자금집행 현황을 점검한 결과 5개 정책금융기관은 지난 14일까지 총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이는 전년대비 17%(4조9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길었던 설 연휴 등을 고려할 때 매우 빠른 집행속도”라고 말했다.
5개 정책금융기관은 오는 3월 말까지 88조원, 4월말까지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예년보다 13조원 늘어난 수준이며 연초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발표한 것보다 3조원 추가된 것이다. 수출입은행의 목표치가 추가로 반영됐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에 달성할 계획이다.
김 부위원장은 “2%대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올해 실질성장률 전망치가 1%대로 하향되는 등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면서 “실물경기 회복속도가 늦춰지면 산업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3월부터는 각 기업의 재무제표가 순차적으로 확정되고, 본격적인 설비투자가 시작되는 만큼 산업현장에도 활기가 가득하도록 금융위와 정책금융기관이 적극 지원해나가겠다”면서 기관들의 적극적 협조를 당부했다.
여신 중심의 총 공급액 뿐만 아니라 지분투자확대를 위한 정책펀드의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3년차를 맞이한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산업 육성·스케일업 목적 펀드인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지난해 12월 조성계획을 조기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이는 2023년(3월 31일)과 2024년(4월 5일)에 비해 2개월가량 빠른 것으로 산업현장에 자금이 실제 공급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은행은 정부의 산은에 대한 자본금 증자가 실제로 집행되기 전인 지난달 24일부터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출시했다.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설비투자를 하려는 경우 산업은행을 통해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받을 수 있다. 지난해 7월 산업은행의 자체여력으로 먼저 제공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의 경우 새로 생긴 프로그램으로 대환(재원변경) 가능하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