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은행권 밸류업 정책이 자본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자본 적정성 관리 및 지배구조 선진화 노력을 당부했다.
또 은행업이 자동차·반도체처럼 경제를 이끄는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금감원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금감원장-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간담회에는 이 원장과 박충현 금감원 은행부문 부원장보를 포함해 20개 국내 은행 은행장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은행권 밸류업의 지속을 위해선, 자본 적정성 관리와 주주환원 사이의 '균형추'를 적절히 맞춰야 한다고 짚었다.
이 원장은 "지배구조 선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CEO 선임 논란 및 이사회 견제 미흡 사례를 볼 때 실제 운영에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자산·상품 쏠림 리스크' 및 '실질적 내부통제 강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단기 실적주의에 따른 밀어내기식 영업관행으로 ELS 등 고위험 상품 판매쏠림이 소비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해달라"고 당부했다.
현장에 참석한 은행장들은 금융사고로 실추된 '신뢰 회복'에 힘을 쏟겠다고 입을 모았다. 또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한도를 부여하고, 저신용자 지원 대출 상품의 경우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건의했다.
이날 이 원장은 지난 2022년 취임 이후 2년 반의 시간을 회상하며 "감독당국과 금융권이 원팀(One-Team)으로 상호 협력했기 때문에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해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은행권이 치열한 변화와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은행업이 자동차, 반도체 등과 같이 미래 한국 경제를 이끄는 중추적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